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|
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Goodrich의 《官話萃珍》에 反映된 淸末 北京音系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91101~20101031 |
| 2 | 대학발전 중점 과제 선정 실천 운영팀 운영 | 순천대학교 | 20021201~20030331 |
| 3 | 미국성화회(American Bible Society)가 음역한 <<약한복음서>>에 반영된 청대후기 북경음계 | 순천대학교 | 20130101~20131231 |
| 4 | 近代漢語 標準音의 形成과 變遷 | 순천대학교 | 20060401~20070331 |
| 5 | 淸末民國初期의 中國語 標準語 敎育 | 순천대학교 | 20070401~20080331 |
| 6 | 西洋人이 기록한 官話課本에 反映된 淸代後期 北京官話 | 한국연구재단 | 20210701~20220630 |
| 7 | 중국어 표음방법 변천 | 순천대학교 | 20000501~20010430 |
| 8 | 中國語 女性 表示 文字에 관한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090301~20100228 |
| 9 | (교내)19세기 北京官話 音系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170701~20180131 |
| 10 | (교내)Robert Morrison의 『五車韻府』 | 순천대학교 | 20210401~20220228 |
| 11 | 西洋人이 기록한 官話課本에 反映된 淸代後期 北京官話 | 한국연구재단 | 20220701~20230630 |
| 12 | 中國 歷代 音韻資料에 反映된 漢語音韻學 硏究方法 | 순천대학교 | 20080401~20090228 |
| 13 | 음역 ≪약한복음서≫에 반영된 청대후기 북경음계 | 한국연구재단 | 20140501~20150430 |
| 14 | 근대한어 어음사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140724~20140814 |
| 15 | (교내)영국 외교관이 중시한 청대후기 북경관화 | 순천대학교 | 20220401~20230228 |
| 16 | <어언자이집>에 반영된 청대중기 북경관화 음계 | 한국연구재단 | 20150501~20160430 |
| 17 | 中國 雅言의 形成過程과 그 特徵 | 순천대학교 | 20100301~20110228 |
| 18 | 西洋人이 기록한 官話課本본에 反映된 淸代後期 北京官話 | 한국연구재단 | 20200701~20210630 |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<西儒耳目資> 연구 | 중국인문학회中國人文科學 | 198912 |
| 2 | <西儒耳目資>의 基礎音系 考察 | 한국중어중문학회중어중문학 | 199112 |
| 3 | <西儒耳目資>의 聲母體系 | 중국인문학회中國人文科學 | 199112 |
| 4 | <西儒耳目資>의 韻母體系 | 중국인문학회中國人文科學 | 199212 |
| 5 | <西儒耳目資>의 聲調體系 |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語學硏究 | 199206 |
| 6 | 近代漢語 語音史 硏究 | 중국인문학회중국인문과학 | 199412 |
| 7 | 從利瑪竇.金尼閣的漢語幷音看到明代晩期的官話音系 | 語言硏究 | 199406 |
| 8 | <西儒耳目資>的成書及其體制 | 中國人民大學 書報資料中心語言文字學 | 199410 |
| 9 | 元雜劇<謝天香>的用韻 | 河北敎育出版社元曲論文集 | 199411 |
| 10 | <西儒耳目資>非山西方言辨析 | 語文硏究 編輯部語文硏究 | 199605 |
| 11 | 論利瑪竇 金尼閣的漢語幷音-歷史上第三個漢語幷音方案 | 北京大學出版社未名論集 | 199610 |
| 12 | 西洋宣敎師 音韻資料에 反映된 明淸官話 | 중국인문학회중국인문과학 | 199812 |
| 13 | 論西洋傳敎士和明代官話 |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 | 199806 |
| 14 | 漢語 標準語의 形成過程 | 한국중국언어학회中國言語硏究 | 199912 |
| 15 | 論漢語標準音的繼承性 | 한국중국학회국제중국학연구 | 199912 |
| 16 | 漢語普通話에 影響을 준 淸代官話 | 한국중어중문학회 | 200006 |
| 17 | 漢語 表音方法의 變遷 | 중국인문학회 | 200012 |
| 18 | 西洋傳敎士的漢語幷音所反映的明代官話音系 | 중국 古漢語硏究編輯部 | 200103 |
| 19 | 漢語標準音的繼承性及其特點 | 巴蜀書社 | 200109 |
| 20 | 淸代의 正音 敎育과 正音 敎材의 音韻 體系 考察 | 중국어문학연구회 | 200405 |
| 21 | 한어여태어중적 OV식 합성명사 | 한국중국언어학회 | 200506 |
| 22 | 論明淸時期漢語標準語的形成與發展 | 한국중어중문학회 | 200712 |
| 23 | 論漢語男性稱謂司及其文字符號 | 한국중국언어학회 | 200712 |
| 24 | 關於漢語男性稱謂詞: 士 | 중국어문연구회 | 200806 |
| 25 | 韓·漢語動物命名音義關係比較初探 | 중국인문학회 | 200808 |
| 26 | 論現代漢語標準音的形成-從宋代到淸代 |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| 200712 |
| 27 | 現代漢語標準語語音溯源 | 동북아시아문화학회 | 200809 |
| 28 | 漢民族民俗對漢語名物詞命名與認知的影響 | 巴蜀書社 | 200812 |
| 29 | 淸末․民國初期의 中國語 標準語 敎育 | 중국인문학회 | 201008 |
| 30 | 漢語標準語(雅言)的形成及其特點 | 동북아시아문화학회 | 201009 |
| 31 | 近代漢語音韻學 硏究方法 -近代韻書硏究方法의 事例- | 동북아시아문화학회 | 201106 |
| 32 | 韓,中,日大?における?養?育に?する認識?態調査 | 한국일본어학회 | 202006 |
| 33 | 漢字飮和食的分析 | 중국인문학회 | 201204 |
| 34 | Goodrich의 ≪官話萃珍≫에 反映된 淸末 北京音系 | 중국인문학회 | 201312 |
| 35 | 音譯 ≪約翰福音書≫에 反映된 淸代後期 北京音系 | 중국인문학회 | 201612 |
| 36 | 語言自邇集에 反映된 淸代後期 北京官話音系 | 한국중국학회 | 201802 |
| 37 | ≪尋津錄≫에 反映된 淸末 北京官話音系 | 중국인문학회 | 201804 |
| 38 | Goodrich의 「華英袖珍字典」에 反映된 北京官話* | 한국중국학회 | 201808 |
| 39 | 「漢英韻府」에 反映된 北京官話音系 | 한국중국언어학회 | 201902 |
| 40 | 再論近代漢語標準音的形成 | 한국중국학회 | 201905 |
| 41 | 淸代後期 西洋宣敎師가 學習한 北京官話 | 중국인문학회 | 202012 |
| 42 | Herbert Allen Giles가 편찬한 <漢語無師自明> | 한국중국학회 | 202102 |
| 43 | Frederick William Baller가 編纂한 漢語敎材 ??日日新?? | 한국중국언어학회 | 202106 |
| 44 | Matteo Ricci와 Nicolas Trigault의 漢語?音에 반영된 明代官話 | 중국어문학회 | 202109 |
| 45 | Robert Morrison이 편찬한 ??五車韻府??의 音系 | 중국인문학회 | 202112 |
| 46 | Calvin Wilson Mateer의 官話類編에 반영된 19세기말 官話音系 | 중국어문학회 | 202403 |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
|---|---|---|---|
| 1 | 현대중국어법의 이해 | 정문출판사 | 2006-05-01 |
| 2 | 漢字와 文化 문화언어학적 접근 | 學古房 | 2008-08-30 |
| 3 | 대학생을 위한 현대 중국어 문법 | 신아사 | 2022-01-31 |
| 4 | 한자와 우언 | 신아사 | 2022-01-31 |
| 5 | 중국어학 입문 | 신아사 | 2022-08-30 |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|
||||||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