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|
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한국지의류연구센터 공동연구사업 | 한국과학재단 | 20080701~20100630 |
| 2 | 극한 환경 서식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한국과학재단 | 20060401~20070331 |
| 3 | 외국우수학생연구원초청연수사업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60301~20070228 |
| 4 | Helicobacter pyroli에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Tuckneraira pseudocomplicata 지의류 형성곰팡이의 기내 배양조건 및 항균활성물질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71201~20081130 |
| 5 | 한반도 지의류 표본인프라 구축 | 국립수목원 | 20070406~20071130 |
| 6 | 남극 지의류 모니터링을 통한 극지 육상생태계 변화 예측 | 한국과학재단 | 20060301~20070228 |
| 7 | 비파괴적 기술을 이용한 농작물 오존 피해 조기 진단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19981201~19991130 |
| 8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40401~20150331 |
| 9 | 산림건강성 모니터링 지표 및 평가기법 개발(산림건강성 지표로서의 지의류 적용 방안)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20301~20121130 |
| 10 | 죽초액 유래 천연향균물질과 유용길항미생물을 혼합한 식물병 방제용 환경친화형 생물적 방제제 개발 | 중소기업청,전라남도,참여기업 | 20100601~20110530 |
| 11 | 지의류 유래 천연생리활성물질의 사업화 기반기술 개발 | 순천대학교 | 20110301~20120228 |
| 12 | 동아시아 분포 지의류 내생균의 생물다양성 및 분류학적 연구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101101~20111031 |
| 13 | 제주도 비자림 및 금산공원 구역에 서식하는 지의류 탐색 및 분류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90529~20191020 |
| 14 | 한국산 미소 지의류 Mega D/B 구축 및 활용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50326~20151030 |
| 15 | 극동(한국)과 소아시아(터키)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동일 계통 지의류 기주내 서식하는 지의류 내생곰팡이 다양성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230101~20231231 |
| 16 |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지의류 형성곰팡이 2차대사산물 생합성 PKS 유전자 발굴 및 이형질체 발현을 통한 유용물질 대량생산 기반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220101~20221231 |
| 17 | 필리핀 지의류 생물자원 고도화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240101~20241231 |
| 18 | 오염지표생물 분포역 평가 및 토양미생물 정밀조사 | 일반기업체 | 20010101~20020430 |
| 19 | 산업화 유망 이끼류 자원선발 및 대량증식 기술 개발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81115~20091114 |
| 20 | 강원도 영동지역 주요 4개소의 지의류 분포조사 | 국립수목원 | 20090120~20091030 |
| 21 | 2007년도 해외우수학생연구원지원사업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70801~20080731 |
| 22 | 칠레산 지의류 생물자원 유래 의학용 천연생리활성물질 발굴 및 대량 생산기반기술 개발 | 한국연구재단 | 20121101~20131031 |
| 23 | 미생물 살균제 현장실증 및 신규 미생물살균제 탐색 | 농촌진흥청 | 20100101~20101231 |
| 24 | 칠레산 지의류 생물자원 유래 의학용 천연생리활성물질 발굴 및 대량 생산기반기술 개발 | 한국연구재단 | 20111118~20121031 |
| 25 | 내건성 지의류를 이용한 생물토양피막 인공유도 기술 개발 | 산림청 | 20120415~20130414 |
| 26 | 생태-산림환경변화에 따른 지의류 생육 특성 조사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40314~20141201 |
| 27 | 미개척 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(미생물 및 육상식물분야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70101~20171210 |
| 28 | 한국산 미소 지의류 Mega D/B 구축(iii) | 국립수목원 | 20160418~20161031 |
| 29 |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지의류 형성곰팡이 2차대사산물 생합성 PKS 유전자 발굴 및 이형질체 발현을 통한 유용물질 대량생산 기반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190101~20191231 |
| 30 | 비교유전체 분석 및 재합성 연구를 통한 지의류 공생 메커니즘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80301~20190228 |
| 31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80101~20181231 |
| 32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210101~20220630 |
| 33 |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지의류 형성곰팡이 2차대사산물 생합성 PKS 유전자 발굴 및 이형질체 발현을 통한 유용물질 대량생산 기반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210101~20211231 |
| 34 | 2020년 온라인 공동활용 화상회의실 구축사업 | 전남테크노파크 | 20201028~20210131 |
| 35 | 필리핀 지의류 생물자원 고도화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250101~20251231 |
| 36 | 필리핀 지의류 생물자원 고도화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231001~20231231 |
| 37 | 동아시아 분포 지의류내생균의 생물다양성 및 분류학적 연구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81101~20111031 |
| 38 | Phytoremediation 효과 검증 : 농산촌 부속 오니를 이용한 광산피해 산림지의 식물생산성 증대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10810~20020809 |
| 39 | 2005년 헝가리과학자 한국방문지원 | 한국과학재단 | 20061004~20051024 |
| 40 | 오수슬러지 토양개량제 현장적용 평가 연구 | 비영리단체 | 20030701~20040831 |
| 41 | 포도 저장병해의 생물적 방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070102~20071231 |
| 42 | 남극 지의류 모니터링을 통한 극지 육상생태계 변화 예측 | 한국과학재단 | 20070301~20080228 |
| 43 | 포도 저장병해의 생물적 방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060102~20061231 |
| 44 | 중국 사막 지역의 지의류 식생 보존 및 복원을 통한 황사 발생 억제연구 | 한국과학재단 | 20080701~20090630 |
| 45 | 강원도 영서지역 주요4개소 및 광릉숲 지의류 분포조사 | 국립수목원 | 20100324~20101029 |
| 46 | 내건성 지의류를 이용한 생물토양피막 인공유도 기술 개발 | 산림청 | 20150415~20160414 |
| 47 | 베트남 지의류 생물자원의 약리적 활성 규명 및 활용 | 한국연구재단 | 20111201~20121130 |
| 48 | (사업)평생학습중심대학육성사업 | 교육부 | 20160301~20170228 |
| 49 | 한반도 지의류 생물표본 인프라구축(산림생물조사과 연구용역비) | 국립수목원 | 20100217~20101029 |
| 50 | Florin Crisan (Babes-Bolya Univ), 한-루마니아 국제협력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100401~20110331 |
| 51 | 내건성 지의류를 이용한 생물토양피막 인공유도 기술 개발 | 산림청 | 20140415~20150414 |
| 52 | 미탐색 페루산 지의류 생물자원 유래 의학용 천연생리활성물질 공동 발굴 및 활용 | 한국연구재단 | 20170228~20180227 |
| 53 | 토양서식 지의류 내생균류 다양성 및 배양특성조사 | 국립수목원 | 20180309~20181020 |
| 54 | 동아시아 및 동유럽 고유 지의류 종내 서식 지의류내생곰팡이 다양성 분석을 통한 유용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한국연구재단 | 20191220~20201219 |
| 55 | 2019년도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(TMC사업)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20190416~20191231 |
| 56 | 자생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유용 유전자 발굴분석-(국립생물자원관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10308~20120107 |
| 57 | 오염인자 판별물질로서 이끼류 등 지시식물의 활용 연구 | 한국지질자원연구원 | 20220101~20221231 |
| 58 | 동아시아 엽권 지의류 Strigula의 종분화 진화사 규명: 국내 우점종 S. multiformis를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 20220301~20230228 |
| 59 | 한반도 지의류 생물표본 인프라 구축 | 국립수목원 | 20090102~20091030 |
| 60 | 한국산 Peltigera 속 지의류의 분류학적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070401~20080331 |
| 61 | 알칼리수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및 관리기술 개발 | 일반기업체 | 20020120~20020419 |
| 62 | 산)한반도 지의류 생물표본 인프라 구축 | 국립수목원 | 20080418~20081128 |
| 63 | 난방제 탄저병 방제용 지의류 유래 천연물질 탐색 및 생물적 방제제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070301~20071231 |
| 64 | Phytoremediation 효과 검증 : 농산촌 부속 오니를 이용한 광산피해 산림지의 식물생산성 증대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30810~20040809 |
| 65 | 산림건강성 평가지표로서의 지의류 적용법 개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60218~20161031 |
| 66 | 한국산 미소 지의류 Mega D/B 구축 및 활용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40325~20141031 |
| 67 | 아프리카 의료약자를 위한 전통지식 기반 약용지의류 이용 풍토병 및 전염병 자가 구급 치료법 개발 | 한국연구재단 | 20141215~20151214 |
| 68 | Teloscitaceae 지의류(자낭균)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chemical library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130501~20140430 |
| 69 | 한국산 거대지의류 Mega DB구축 및 활용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30419~20131031 |
| 70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90101~20191231 |
| 71 |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지의류 형성곰팡이 2차대사산물 생합성 PKS 유전자 발굴 및 이형질체 발현을 통한 유용물질 대량생산 기반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200101~20201231 |
| 72 | 2020년도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(TMC사업)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 20200101~20201231 |
| 73 | 유전체와 전사체 분석을 통한 지의류 형성곰팡이 2차대사산물 생합성 PKS 유전자 발굴 및 이형질체 발현을 통한 유용물질 대량생산 기반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180901~20181231 |
| 74 |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제의 현장 활용증진 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110101~20111231 |
| 75 | 산업화 유망 신규 천연물 개발을 위한 루마니아 고산 지의류 생물자원 탐색 | 한국연구재단 | 20110401~20120331 |
| 76 | 지의류 생리적 반응조사 및 강하먼지 이화학적 분석 | 국립수목원 | 20220330~20221020 |
| 77 | 동아시아 엽권 지의류 Strigula의 종분화 진화사 규명: 국내 우점종 S. multiformis를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 20210301~20220228 |
| 78 | 극동(한국)과 소아시아(터키)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동일 계통 지의류 기주내 서식하는 지의류 내생곰팡이 다양성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 20220101~20221231 |
| 79 | 제주도 동백동산 구역에 서식하는 지의류 탐색 및 분류연구 | 국립수목원 | 20200318~20201020 |
| 80 | 동아시아 엽권 지의류 Strigula의 종분화 진화사 규명: 국내 우점종 S. multiformis를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 20200601~20210228 |
| 81 | 오염인자 판별물질로서 이끼류 등 지시식물의 활용 연구 | 한국지질자원연구원 | 20200301~20201231 |
| 82 | 벼와 벼도열병균의 기주-기생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오존 영향 | 한국과학재단 | 20010901~20020831 |
| 83 | 2007년도 해외우수학생연구원지원사업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80801~20090731 |
| 84 | 외국인 과학자 한국방문 연구 | 한국과학재단 | 20091003~20090120 |
| 85 | 남극 및 한국산 가상체 지의류 분류학적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061214~20070114 |
| 86 | 베트남 지의류 생물자원의 약리적 활성 규명 및 활용 | 한국연구재단 | 20121201~20131130 |
| 87 | (사업)평생학습중심대학육성사업 | 교육부 | 20150301~20160229 |
| 88 | 지의류 종 분류 및 활성도 평가 | 일반기업체 | 20021101~20030131 |
| 89 | 칠레산 지의류 생물자원 유래 의학용 천연생리활성물질 발굴 및 대량 생산기반기술 개발 | 한국연구재단 | 20131101~20141031 |
| 90 | 국내 자생 지의류에서 약리 효능 물질 발굴 및 표준화 연구 | 산림청 | 20190101~20191231 |
| 91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200101~20201231 |
| 92 | 비교유전체 분석 및 재합성 연구를 통한 지의류 공생 메커니즘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70301~20180228 |
| 93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 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70701~20171231 |
| 94 | (사업)지방대학특성화사업(사업관리본부) | 교육부 | 20150301~20160229 |
| 95 | 도서지역 주요 4개소의 지의류 분포조사 | 국립수목원 | 20110301~20111031 |
| 96 | 지의류 생리적 반응조사 및 토양이화학적 분석 | 국립수목원 | 20210303~20211020 |
| 97 | 2021년도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(TMC사업) |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| 20210101~20211231 |
| 98 | 동아시아 엽권 지의류 Strigula의 종분화 진화사 규명: 국내 우점종 S. multiformis를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 20230301~20240229 |
| 99 | 극한 환경 서식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한국과학재단 | 20070401~20080331 |
| 100 | 벼와 벼도열병균의 기주-기생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오존 영향 | 한국과학재단 | 20000901~20010831 |
| 101 | RAPD marker를 이용한 엽상체 지의류 번식체 및 번식 방법 규명 | 순천대학교 | 20040401~20050331 |
| 102 | 외국우수학생연구원초청연수사업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70301~20080228 |
| 103 | 중국 사막 지역의 지의류 식생 보존 및 복원을 통한 황사 발생 억제연구 | 한국과학재단 | 20090701~20100630 |
| 104 | 한국산 지의류에서 길항곰팡이 분리 및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검증 | 순천대학교 | 20000501~20010430 |
| 105 | 2007년 후반기 러시아 과학자 한국 방문연구(Dr. Mikhail P. Andreev) | 한국과학재단 | 20071001~20071031 |
| 106 | 백두대간 및 한남정맥지역의 지의류 표본 수집 | 국립수목원 | 20060428~20061210 |
| 107 | 남북극 지역 분포 지의류에서 분리한 지의류내생곰팜이의 분류학전 연구 및 다양성 분석 | 순천대학교 | 20090301~20100228 |
| 108 | 경기도 주요 4개 지역의 지의류 분포조사 | 국립수목원 | 20080620~20081128 |
| 109 | 미개척 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(미생물 및 육상식물분야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50512~20151231 |
| 110 | 차나무 잎마름병 떡 떡병에 대한 환경친화적 방제기술 개발(보성군농업기술센터) | 농촌진흥청 | 20100101~20101231 |
| 111 | 내건성 지의류를 이용한 생물토양피막 인공유도 기술 개발 | 산림청 | 20130415~20140414 |
| 112 | 산업화 유망 이끼류 자원선발 및 대량증식기술개발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71115~20081114 |
| 113 | 베트남 지의류 생물자원의 약리적 활성 규명 및 활용 | 한국연구재단 | 20131201~20141130 |
| 114 | 산림건강성 평가를 위한 지의류 지표종 선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30307~20131130 |
| 115 | 한국산 지의류의 동정 및 분류학적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030629~20030730 |
| 116 | 지의류내생곰팡이 배양을 통한 5-hydroxy-mellein 제조와 순수 분리 화합물 및 관련 기술 제공 | 일반기업체 | 20170220~20170819 |
| 117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60401~20170331 |
| 118 | 비교유전체 분석 및 재합성 연구를 통한 지의류 공생 메커니즘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90301~20200229 |
| 119 | 고가 임산물 장식/포장용 이끼 선발 및 대량재배 기술개발 | 전라남도 | 20110101~20111231 |
| 120 | 제주도 곶자왈에 서식하는 지의류 탐색 및 분류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80309~20181020 |
| 121 | 국내 자생 지의류에서 약리 효능 물질 발굴 및 표준화 연구 | 산림청 | 20180101~20181231 |
| 122 | 동아시아 및 동유럽 고유 지의류 종내 서식 지의류내생곰팡이 다양성 분석을 통한 유용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한국연구재단 | 20181220~20191219 |
| 123 | 엽권지의류의 생태적응성 평가를 통한 기후변화 지표종 발굴 | 국립수목원 | 20210303~20211020 |
| 124 | 남극 지의류 모니터링을 통한 극지 육상생태계 변화 예측 | 한국과학재단 | 20080301~20090228 |
| 125 | 난방제 탄저병 방제용 지의류 유래 천연물질 탐색 및 생물적 방제제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080101~20081231 |
| 126 | 미생물 살균제 현장실증 및 신규 미생물산균제 탐색 | 농촌진흥청 | 20090101~20091231 |
| 127 | 유용생리활성물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지의류 형성 곰팡이 인공배양 연구 | 한국과학재단 | 20060501~20070228 |
| 128 | 지의류 종 분류 | 비영리단체 | 20020801~20020930 |
| 129 | 포도및 참다래 저장병해의 생물적 방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050401~20051231 |
| 130 | 지의류 유래 단백질 탐색을 통한 지의류 특이 단백질의 특성 및 생리활성 규명 | 한국연구재단 | 20130925~20140724 |
| 131 | 지의류 유래 천연생리활성물질의 사업화 기반기술 개발 | 순천대학교 | 20120301~20130228 |
| 132 | 자생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유용 유전자 발굴 분석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20409~20121208 |
| 133 | 한국산 미소지의류의 분자계통 및 분류 연구 |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| 20160501~20170331 |
| 134 | 한국산 거대 지의류 Mega D/B 구축 및 활용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20417~20121031 |
| 135 | (3차)산업화 유망 이끼류 자원선발 및 대량증식 기술 개발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91115~20101114 |
| 136 | 광릉숲 생물상 조사-지의류 | 국립수목원 | 20140407~20141031 |
| 137 | 한반도 지의류 생물표본 인프라 구축 | 국립수목원 | 20110301~20111031 |
| 138 | 자생 난배양 공생자낭균류 유래 신약후보물질 개발 사업 | 순천대학교 | 20200901~20210131 |
| 139 | 지의류 생리적 반응조사 및 강하먼지 이화학적 분석 | 국립수목원 | 20230404~20231020 |
| 140 | 난방제 탄저병 방제용 지의류 유래 천연물질 탐색 및 생물적 방제제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090101~20091231 |
| 141 | 러시아 과학자 한국 방문 연구(Mikhail P. Andreev) | 한국과학재단 | 20061011~20061021 |
| 142 | 차나무 잎마름병 떡 떡병에 대한 환경친화적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080301~20081231 |
| 143 | 2007년 헝가리과학자 한국 방문연구 | 한국과학재단 | 20071001~20071021 |
| 144 | Phytoremediation 효과 검증 : 농산촌 부속 오니를 이용한 광산피해 산림지의 식물생산성 증대 | 농림부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20810~20030809 |
| 145 | 차나무 잎마름병 떡 떡병에 대한 환경친화적 방제기술 개발(보성군농업기술센터) | 농촌진흥청 | 20090101~20091231 |
| 146 | 한국산 Anzia속 지의류의 분류학적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050401~20060331 |
| 147 | 극한 환경 서식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한국과학재단 | 20050401~20060331 |
| 148 | 동남아시아 열대우림 분포 지의류 생물자원을 이용한 암세포전이 억제 항암활성 후보물질 탐색 및 발굴 | 한국연구재단 | 20151201~20161130 |
| 149 | Teloscitaceae 지의류(자낭균)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chenmical library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120501~20130430 |
| 150 | 지의류 생물자원 소재은행 | 한국연구재단 | 20150401~20160331 |
| 151 | 미개척 생물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(미생물 및 육상식물분야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60101~20161231 |
| 152 | 동아시아 분포 지의류내생균의 생물다양성 및 분류학적 연구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91101~20101031 |
| 153 | 산림환경변화에 따른 지의류 생육 특성 조사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50211~20151030 |
| 154 | 미생물자원의 환경반응 유전자 분석 연구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30304~20131227 |
| 155 | (교내)메타바코딩 기법을 이용한 한국산 지의류 내생균의 다양성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180901~20190831 |
| 156 | (수익사업)지의류 연구소재의 유료분양 |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| 20190301~20200229 |
| 157 | Teloscitaceae 지의류(자낭균)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chemical library 구축 | 한국연구재단 | 20110401~20120331 |
| 158 | 독도 지의류상 조사 및 내륙 분포 종과 비교 연구 | 국립수목원 | 20170323~20171031 |
| 159 | 토양서식 지의류 내생균류 다양성 조사 및 확보와 배양조건 개발 | 국립수목원 | 20170323~20171031 |
| 160 | 국내 자생 지의류에서 약리 효능 물질 발굴 및 표준화 연구 | 산림청 | 20170331~20171231 |
| 161 | 오염인자 판별물질로서 이끼류 등 지시식물의 활용 연구 | 한국지질자원연구원 | 20210101~20211231 |
| 162 | 동아시아 엽권 지의류 Strigula의 종분화 진화사 규명: 국내 우점종 S. multiformis를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 20240301~20250228 |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포도탄저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살포시기 예찰시스템 | 한국식물병리학회지 | 199202 |
| 2 | Effects of atmospheric SO₂ on Azoola-Anabaena Symbiosis | Physiologia plantarum. | 199303 |
| 3 | Effects of atmospheric O₃ on Azolla-Anabaena Symbiosis | Annal of Botany CompanyAnnal of Botany | 199403 |
| 4 | Effects of atmospheric NO₂ on Azolla-Anabaena Symbiosis | Annal of Botany CompanyAnnal of Botany | 199403 |
| 5 | 아황산가스와 오존에 대한 지표 식물의 가시적 피해 발현시간 조사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199503 |
| 6 | 식물체 잎표면의 열화상 분석을 통한 오존 피해 조기진단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199603 |
| 7 | 자연대기수주의 오존농도가 동진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199803 |
| 8 | Reclamation of Wastewater from a Steel-Making Plant Using an Airlift Submerged Biofilm Reacter | Society of Chemical IndustryJ.Chem.Technol.Biotechnol | 199803 |
| 9 | Isolation of antagonistic fungi associated with the lichens distributed in southern parts of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199912 |
| 10 | 순천만 유입 수계의 수질 조사 | 순천대학교 | 199908 |
| 11 | Bacterial soft rot of dendrobium phalaenopsis and Phalaenopsis species by Erwinia chrysanthemi | The Plant Pathol.J | 199903 |
| 12 | First report on gray blight of tea plant caused by Pestalotiopsis these in Korea | The Plant Pathol. J | 199903 |
| 13 | 상수원수의 효과적인 정수처리를 위한 최적 응집제 주입량 결정 III 응집보조제 주입효과 | 순천대학교 | 199908 |
| 14 |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산업폐수 처리 | 한국환경농학회 | 200006 |
| 15 | Indicative Responses of Rice Plant to Atmospheric Ozone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006 |
| 16 | 벼도열병균에 대한 오존의 영향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003 |
| 17 | 백운산 서식 지의류를 이용한 오존 민감성 지표종 선발 | 한국임학회 | 200003 |
| 18 |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ld-tolerant Eucalyptus specie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food-borne bacterial pathogen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010 |
| 19 | Seasonal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Gray Blight of Tea Plants in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102 |
| 20 | First Report of Diaporthe actinideae, The Causal Organism of Stem-end Rot of Kiwifruit in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104 |
| 21 | Chemical and cultural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in korea | 200101 | |
| 22 | Chemical and cultural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in Korea | The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| 200101 |
| 23 | Eco-physiological responses of two Populus deltoides clones to ozone | 한국생태학회 | 200104 |
| 24 | Biosorption of copper by immobilized biomass of Pseeudomonas stutzeri |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Microbiology | 200112 |
| 25 | Inhibitory effects of super reductive water on plant pathogenic Fungi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210 |
| 26 | Inhibitory effects of atmospheric ozone on Magnaporthe grisea conidi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202 |
| 27 | Anthracnose of gardenia (Gardenia jasminoides for. grandiflora Makino)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207 |
| 28 | Bactericidal activity and water purification of immobilized TiO2 photocatalyst in bean sprout cultivation | SPRINGER | 200202 |
| 29 | 탄광 폐석지내 자생 수종의 생리적 피해 및 내성 | 한국농림기상학회 | 200309 |
| 30 |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ronatine-producing Pseudomonas syringae pv. actinidiae |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| 200302 |
| 31 | 참다래 저장병 방제 약제 선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09 |
| 32 | Botrysphaeria dothidea,the Causal Organism of Ripe Rot of Kiwifruit(Actinidia deliciosa)in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10 |
| 33 | Isolation,Cultivation,and Antifungal Activity of a Lichen-Forming Fungu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04 |
| 34 | Antifungal properties of Eucalyptus darlympleana against postharvest pathogens of kiwifruits | ISHS | 200306 |
| 35 | 남부지방 마늘 녹병의 발생 현황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09 |
| 36 |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덴파레 검은점무늬병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09 |
| 37 | 참다래 저장병 예방약제 최적 살포 체계 확립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12 |
| 38 | 후숙 온도가 참다래 저장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12 |
| 39 | 우리나라 참다래 저장병 발병율과 병원균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312 |
| 40 | Molecular bases of high-level streptomycin resistance in Pseudomonas marginalis and Pseudomonas syringae pv. acdnidiae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303 |
| 41 |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yringae pv. actinidiae isolated in Korea and genetic relationship among Coronatine-producing pathovars based on cmaU sequences | 국제원예학회 | 200308 |
| 42 | Current status of occurence of major disease on kiwifruits and their control in Korea | 국제원예학회 | 200306 |
| 43 | Effects of ozonated water on postharvest pathogens of kiwifruits in laboratory | 국제원예학회 | 200306 |
| 44 | Antifungal properties of Eucalyptus darlympleana against postharvest pathogens of kiwifruits | 국제원예학회 | 200306 |
| 45 | Recent Progress in Lichen Research in Korea ?from Taxonomic Study to Environmental Application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403 |
| 46 | Distribution of lichen flora on South Korea (vol 42, pg 163, 2004)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409 |
| 47 | 남한분포 Dermatocarpon(가칭:민바위버섯지의) 속 지의류에 대한 분류연구 | 한국균학회 | 200412 |
| 48 |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,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Eucalyptus darylmpleana agianst 1,1-Diphenyl-2-picrylhydrazyl Radical | 한국생약학회 | 200410 |
| 49 | Introduction of saxicolous lichens distributed in coastal rocks of U-do islet in Jeju, Korea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412 |
| 50 | 참다래 꽃썩음병균의 동정 및 발생생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412 |
| 51 | 환상박피와 비가림 시설을 이용한 참다래 꽃썩음병의 경종적 방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412 |
| 52 | 참다래 꽃썩음병 예방약제 최적 살포 체계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412 |
| 53 | Occurrence of the strA-strB streptomycin resistance genes in Pseudomonas species isolated from kiwifruit plants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412 |
| 54 | 분자생물학적 기법에 의한 우도해안과 노지암석에분포하는 지의류의 생태학적 분석 | 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 | 200412 |
| 55 | 남한분포 Nephroma(가칭: 주걱지의) 속 지의류에 대한 분류연구 | 한국균학회 | 200412 |
| 56 | 각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환경기술진흥원) | 200411 |
| 57 | Stimulation of soil microbial activity by lichen colonization in an abandoned coalmine waste dump soil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408 |
| 58 | Novel effects of TiO2 photocatalytic ozonation on control of postharvest fungal spoilage of kiwifruit | ELSEVIER SCIENCE BV | 200501 |
| 59 | Pseudomonas syringae pv. morsprunorum에 의한 양앵두나무 궤양병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506 |
| 60 | Highland macrolichen flora of northwestern Yunnan, China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506 |
| 61 | Fusarium Wilt of Winter Daphne (Daphne odora Thunb.)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506 |
| 62 |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. actinidiae Causing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506 |
| 63 | Bacillus subtilis S1-0210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Botrytis cinerea in Strawberrie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503 |
| 64 | 한국산 지의류 생물자원 확보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) | 200505 |
| 65 | 차나무 탄저병 및 겹둥근무늬병 방제전용 미생물제재 개발 및 상품화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504 |
| 66 | 포도 저장병해의 생물학적 방제 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농촌진흥청) | 200508 |
| 67 | 환경시책 효율성 제고: 각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환경기술진흥원) | 200507 |
| 68 |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의 발생소장 및 엽권 길항미생물 선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512 |
| 69 | Postharvest fruit rots of kiwifruit (Actinidia deliciosa) in Korea | RSNZ PUBLISHING | 200510 |
| 70 | Two Species of Bryoria (Lichenized Ascomycota, Parmeliaceae) from the Sino-Himalayas | 한국균학회 | 200512 |
| 71 | A checklist of Korean Lichens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512 |
| 72 | Lichenomphalia hudsoniana(Iicheninzed basidiomycota) from China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506 |
| 73 |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on Begonia(Begonia semperflorens Link.) Nurserie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603 |
| 74 | 중국산 Polychidium 속 지의류 분류연구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607 |
| 75 | 중국 운남성 및 주변 아시아 지역의 지의류 상에 대한 보고 (1) Leioderma sorediatum와 Erioderma meiocarpum 지의류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607 |
| 76 | 차나무 겹둥근무늬병 방제용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한 길항세균Bacillus subtilis BD0310의 대량배양 최적조건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608 |
| 77 | 우리나라 극지연구의 질적향상을 위한 기획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) | 200602 |
| 78 | 차나무 탄저병 및 겹둥근무늬병 방제전용 미생물제제 개발 및 상품화 | 각 기관별 연차보고서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603 |
| 79 | 포도 및 참다래 저장병해의 생물적 방제 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농진청 농업특정개발연구 사업) | 200607 |
| 80 | 한국산 지의류 유전자원 확보 및 통합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구축 | 각 기관별 연차보고서(과학재단 특정연구개발사업 유전자원활용지원사업단) | 200604 |
| 81 | 극한 환경 서식 지의류의 형성 곰팡이 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각 기관별 연차보고서(과학재단 21C 프론티어 미생물유전체 활용사업단) | 200601 |
| 82 | 산림생물표본 수집 및 분류 동정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산림청 수목원) | 200512 |
| 83 | Taxonomic study of Bryoria (lichenized Ascomycota, Parmeliaceae) from the Sino-Himalaya (2). Bryoria fastigiata sp nov. | HATTORI BOTANICAL LABORATORY | 200608 |
| 84 | Lichen flora around the Korean Antarctic Scientific Station, King George Island, Antarctic | MICROBIOLOGY SOC KOREA | 200610 |
| 85 | New Record of Karoowia saxeti (Stizenb.) Hale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609 |
| 86 | Antioxidative Activity of Lichen Thamnolia vermicularis in vitro | 한국균학회 | 200609 |
| 87 | Antifungal Activity of Lichen-Forming Fungi Isolated from Korean and Chinese Lichen Specie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612 |
| 88 | 백두대간 및 한남정맥지역의 지의류 표본수집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국립수목원) | 200612 |
| 89 | 포도 및 참다래 저장병해의 생물학적 방제 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농촌진흥청) | 200611 |
| 90 | 철쭉나무(Rhododendron schlippenbachii)에 대한 엽상 지의류 Dirinaria applanata의 병원성 조사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704 |
| 91 | New Record of Lecanora muralis (Lichenized Fungi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706 |
| 92 | 남극지의류 모니터링을 통한 극지 육상생태계 변화 예측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과학재단) | 200612 |
| 93 | Lichen genus Anzia (Lichenized ascomycota, parmeliaceae) in Korea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707 |
| 94 | 차나무 탄저병 및 겹둥근무늬병 방제전용 미생물제제 개발 및 상품화에 관한 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농림기술관리센터) | 200705 |
| 95 | 한국산 지의류 유전자원 확보 및 통합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구축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과학기술부(한국과학재단)) | 200702 |
| 96 | 극한 환경 서식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전자원 탐색 및 확보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(과학기술부)) | 200701 |
| 97 | 유용생리활성물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지의류 형성 곰팡이 인공배양 연구 | 각 기관별 연구보고서(한국과학재단) | 200701 |
| 98 | Characterisation of heavy metal tolerance and biosorption capacity of bacterium strain CPB4 (Bacillus spp.) |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Publishing | 200706 |
| 99 | Taxonomic Study on the Lichen Genus Cetrelia (Lecanorales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709 |
| 100 | Foliose genera of Physciaceae (lichenized Ascomycota) of South Korea | MYCOTAXON LTD | 200710 |
| 101 | Taxonomic Study on the Lichen Genus Coccocarpia (Lecanorales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712 |
| 102 | Lichen flora of western part of Yunnan province, China | 길림농업대학 | 200709 |
| 103 | 지의류 복합체에 의한 매실나무 지의류병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712 |
| 104 | Usnea rubrotincta (Lichenized Ascomycota, parmeliaceae) as New for South Korea | The Japanese Society for Lichenology | 200712 |
| 105 | Diversity of the Lichenized Fungi in King George Island, Antarctica, Revealedby Phylogenetic Analysis of Partial Large Subunit rDNA Sequences | 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 | 200806 |
| 106 | Antifungal activity of lichen-forming fungi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on hot pepper | 200806 | |
| 107 |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의 방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804 |
| 108 | Incidences of leaf spots and blights on kiwifruit in Korea | 200806 | |
| 109 | Alternaria alternata에 의한 참다래 갈색둥근무늬병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0804 |
| 110 | First Report of Heterodermia squamulosa (Lichenized Ascomycota, Physciaceae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809 |
| 111 | Cladonia peziziformis (Lichenized Ascomycota, Cladoniaceae) New to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809 |
| 112 | Antifungal activity of eucalyptus-derived phenolics against postharvest pathogens of kiwifruits | 200809 | |
| 113 | Taxonomic Study on the Lichen Genus Xanthoparmelia (Ascomycotina, Parmeliaceae) in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812 |
| 114 | Cytotoxic activity of some Chinese lichen extracts on human cancer cell lines | 일본지의학회 | 200812 |
| 115 | Biological Control of Tea Anthracnose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of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Tea Leaves | 200903 | |
| 116 | Isolation of Lichen-forming Fungi from Hungarian Lichen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al Pathogens of Hot Pepper Anthracnose | KOREAN SOC PLANT PATHOLOGY, NATIONAL INST AGR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 PLANT PATHOLOGY DIVISION | 200903 |
| 117 | Effect of Ribitol and Plant Hormones on Aposymbiotical Growth of the Lichenforming Fungi of Ramalina farinacea and Ramalina fastigiata | 한국균학회 | 200903 |
| 118 | A taxonomic study of Heterodermia (Lecanorales, Ascomycota) in South Korea based on phenotypic and phylogenetic analysis | MYCOTAXON LTD | 200807 |
| 119 | New Record of the Existence of Sarcographa tricosa (Lichenized Ascomycota, Graphidaceace) in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906 |
| 120 | 북한 지의류에 대한 보고 | 한국균학회 | 200906 |
| 121 | Lecanoric acid, a secondary lichen substance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rom Umbilicaria antarctica in maritime Antarctica (King George Island) | SPRINGER | 200907 |
| 122 | Anti-proliferative effects of Lethariella zahlbruckneri extracts in human HT-29 human colon cancer cells | PERGAMON-ELSEVIER SCIENCE LTD | 200909 |
| 123 | Taxonomic Study of Peltigera (Peltigeraceae, Ascomycota) in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909 |
| 124 | Notes on Some New Records of Macro- and Micro-lichens from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909 |
| 125 | Thelotrema subtile and Verrucaria muralis New to Korea | 한국균학회 | 200912 |
| 126 | Causal Agents of Blossom Blight of Kiwifruit in Korea | 200909 | |
| 127 | Identification of Sculptolumina japonica (Physciaceae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03 |
| 128 | Notes on Lichen Genus Buellia De Not. (lichenized Ascomycetes)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03 |
| 129 | Notes on the Existence of Leucodecton desquamescens (Thelotremoid Graphidaceae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06 |
| 130 |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lichen Ramalina conduplicans and its free radical-scavenging constituents | SPRINGER TOKYO | 201009 |
| 131 | Taxonomic studies on the lichen flora of southwestern China (1). Pilophorus yunnanensis sp nov (Cladoniaceae) | AMER BRYOLOGICAL LICHENOLOGICAL SOC INC | 201006 |
| 132 | Plant Hormones Promote Growth in Lichen-Forming Fungi | 한국균학회 | 201009 |
| 133 | Three New Records of Lichen Genus Rhizocarpon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09 |
| 134 | Further Additions to Lichen Genus Buellia De Not.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09 |
| 135 | A first modern contribution to Caloplaca biodiversity in South Korea; two new species and some new country records | 영국지의학회 | 201010 |
| 136 | A new species of Graphis (lichenized Ascomycetes) from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009 |
| 137 | Notes on Some New Records of Foliicolous Lichens from Vietnam | 국립대만대학교 | 201012 |
| 138 | The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 Highland Lichens | KOREAN SOC MICROBIOLOGY & BIOTECHNOLOGY | 201011 |
| 139 | 석조문화재 및 식물 착생 지의류의 화학적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| 한국농약과학회 | 201009 |
| 140 |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n-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 from the lichen-forming fungus Usnea longissima. | Springer | 201101 |
| 141 | First report of a fertile specimen of Coenogonium disciforme: a species new to the Vietnamese lichen flora. Lichenologists | Cambiridge Univ. press | 201104 |
| 142 | Caloplaca aequata is a synonym of C. cinnabarina (Teloschistaceae) | CAMBRIDGE UNIV PRESS | 201103 |
| 143 | New and noteworthy species of the lichen genus Lecanora (Ascomycota; Lecanoraceae) from South Korea | CAMBRIDGE UNIV PRESS | 201107 |
| 144 |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 from the Lichen-Forming Fungus Usnea longissima | MICROBIOLOGICAL SOCIETY KOREA | 201106 |
| 145 | Pilophorus fruticosus (Cladoniaceae), a new species from south-western China | CAMBRIDGE UNIV PRESS | 201103 |
| 146 | Contribution to the lichen mycota of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106 |
| 147 | Two New Records of the Lichen Genus Placynthiella Elenkin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103 |
| 148 | A Lichen Genus Porpidia (Porpidiaceae)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103 |
| 149 | Detection of Xanthomonas arboricola pv. pruni by PCR Using Primers Based on DNA Sequences Related to the hrp Genes | MICROBIOLOGICAL SOCIETY KOREA | 201010 |
| 150 | Outbreak of bacterial canker on Hort16A (Actinidia chinensis Planchon)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. actinidiae in Korea | TAYLOR FRANCIS LTD | 201012 |
| 151 | Dactylospora glaucomarioides (Ascomycetes, Dactylosporaceae): A Lichenicolous Fungus New to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012 |
| 152 | Production of Anti-Helicobacter pylori Metabolite by the Lichen-Forming Fungus Nephromopsis pallescens | MICROBIOLOGICAL SOCIETY KOREA | 201102 |
| 153 | The genus Pilophorus (Lichenized Ascomycota, Cladoniaceae) from China | 중국과학원 | 201111 |
| 154 | Seven new records of foliicolous lichens from Vietnam | Mycotaxon | 201109 |
| 155 | Caloplaca allochroa (lichenized Ascomycetes), a new saxicolous lichen species from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109 |
| 156 | The genus Cladonia (lichenized Ascomycota, Cladoniaceae) in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109 |
| 157 |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혼용에 의한 오이 주요 곰팡이병의 방제 효과 | 한국농약과학회 | 201109 |
| 158 | A new 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 from the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etacorallifera | ALLEN PRESS INC | 201203 |
| 159 | Taxonomic Study of the Lichen Genus Lobaria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203 |
| 160 | New species and new records of the lichen genus Porpidia (Lecideaceae) from western China | CAMBRIDGE UNIV PRESS | 201209 |
| 161 | A new species and new records of saxicolous species of the genus Lecidella (Lecanoraceae) from South Korea | AMER BRYOLOGICAL LICHENOLOGICAL SOC INC | 201206 |
| 162 | Three new records of lichen genera Opegrapha and Phaeographis from the Republic of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09 |
| 163 | Notes on species of the lichen genus Canoparmelia elix & hale in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09 |
| 164 | First report of the lichen species, Heterodermia flabellata (Fée) D. D. Awasthi, and Updated taxonomic key of Heterodermia in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09 |
| 165 |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Myelochroa in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12 |
| 166 | New records of lichen genus Thelotrema ach. (thelotremoid Graphidaceae) from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12 |
| 167 | The lichen genus Polychidium new to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212 |
| 168 | Caloplaca lacinulata rediscovered for the lichen flora of South Korea | Wiley-VCH Verlag | 201207 |
| 169 | Sphingobacterium cladoniae sp. nov., isolated from lichen, Cladonia sp., and emended description of Sphingobacterium siyangense. | IJS | 201302 |
| 170 | Biruloquinone,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Produced by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acilenta | KOREAN SOC MICROBIOLOGY BIOTECHNOLOGY | 201302 |
| 171 | New and rediscovered Caloplaca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species from Asia | Akademiai Kiado Rt. | 201209 |
| 172 | Lethariella zahlbruckneri aceton extract-induced apoptosis of MCF-7 human breat cancer cells involves caspase cascade and mitochondria- mediated death signaling | Omics group | 201206 |
| 173 | Antioxidant, Antibacterial activity and Brine shrimp toxicity test of some Mountainous Lichens from Nepal | SOC BIOLGIA CHILE | 201212 |
| 174 | 지의류의 분자 생물학적 동정을 위한 과(family) 특이적 primer 제작과 유용성 평가 | 과학교육연구소 | 201212 |
| 175 | Lichens newly recorded from the South Korean coast | MYCOTAXON LTD | 201212 |
| 176 | Notes on the lichen genus hypotrachyna (Parmeliaceae) from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303 |
| 177 | Leiorreuma exaltatum and Trapelia coarctata, new to Korean lichen flor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303 |
| 178 | The lichen genus Parmotrema in South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303 |
| 179 | New Records and an Annotated Key for the Identification of Graphis Adans. in South Korea | RESEARCH ARTICLE | 201306 |
| 180 |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non-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s from the lichen-forming fungus Hypogymnia physodes | SPRINGER | 201308 |
| 181 | New records of lichens from Chile | MYCOTAXON LTD | 201303 |
| 182 | Endocarpon maritima sp nov (lichenized Ascomycota) from the maritime region of South Korea | MYCOTAXON LTD | 201303 |
| 183 | Graphis koreana (Graphidaceae, Ostropales), a new species from South Korea | ACADEMIC PRESS LTD ELSEVIER SCIENCE LTD | 201309 |
| 184 | New records of corticolous lichens from Vietnam | MYCOTAXON LTD | 201303 |
| 185 | Draft Genome Sequence of Lichen-Forming Fungus Caloplaca flavorubescens Strain KoLRI002931 | 미국미생물학회 | 201309 |
| 186 | Draft Genome Sequence of Cladonia macilenta KoLRI003786, a Lichen-Forming Fungus Producing Biruloquinone | 미국미생물학회 | 201309 |
| 187 | New species and new records in the family Graphidaceae (Ascomycota: Ostropales) from Vietnam | CAMBRIDGE UNIV PRESS | 201309 |
| 188 | The lichen genus Graphis from Vietnam | Mycotaxon | 201309 |
| 189 | The lichen genus Fissurina (Graphidaceae) in Vietnam | MYCOTAXON LTD | 201304 |
| 190 | Further additions to the macrolichen mycota of Vietnam | MYCOTAXON LTD | 201304 |
| 191 | Lichen Mycota in South Korea: The Genus Usnea | KOREAN SOC MYCOLOGY | 201309 |
| 192 | The Lichen Dirinaria picta New to South Korea | MYCO | 201309 |
| 193 | Root rot of Ballon flower (Platycodon grandiflorum) caused by Fusarium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311 |
| 194 | Five new Caloplaca species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from Asia | Akademiai Kiado | 201303 |
| 195 | Four new genera of teloschistoid lichens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based on molecular phylogeny | Akademiai Kiado Rt. | 201309 |
| 196 | Three new Xanthoria and Rusavskia species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from Europe | Akademiai Kiado | 201309 |
| 197 | Endocarpon subramulosum (Verrucariaceae) a new species of lichenized fungi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312 |
| 198 | Contributions to the foliicolous lichens flora of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312 |
| 199 | New Additions to Lichen Mycota of the Republic of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312 |
| 200 | Agrobacterium tumefaciens-Mediated Transformation of the Lichen Fungus, Umbilicaria muehlenbergii | PUBLIC LIBRARY SCIENCE | 201312 |
| 201 | A revised taxonomy for the subfamily Caloplacoideae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based on molecular phylogeny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402 |
| 202 | Caloplaca kedrovopadensis sp. nova and some new lichens from the Primorsky region, Russia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402 |
| 203 | A revised taxonomy for the subfamily Xanthoriodeae (Teloschistaceae, Ascomycota) based on molecular phylogeny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402 |
| 204 | New records of lichens from Shapotou area in Ningxia of Northwest China | 중국과학원 | 201401 |
| 205 | Draft genome sequence of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etacorallifera strain KoLRI002260 | 미국미생물학회 | 201402 |
| 206 |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bryophyte in the maritime Antarctic (King George Island) | SPRINGER | 201401 |
| 207 | Nipponoparmelia perplicata sp. nov. (Parmeliaceae, Ascomycota) from eastern Asia | Mycotaxon | 201312 |
| 208 | Three New Non-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s from the Lichen-Forming Fungus Usnea longissima | KOREAN SOC MYCOLOGY | 201403 |
| 209 | The Lichen Genus Sticta in South Korea | KOREAN SOC MYCOLOGY | 201403 |
| 210 | A New Species of Graphis and New Lichen Records from Vietnam, Including a Second Worldwide Report of Sarcographina cyclospora | KOREAN SOC MYCOLOGY | 201403 |
| 211 | Lichen Secondary Metabolites in Flavocetraria cucullata Exhibit Anti-Cancer Effects on Human Cancer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Suppression of Tumorigenic Potentials | PUBLIC LIBRARY SCIENCE | 201410 |
| 212 | Overview of Xanthoparmelia taxa from South Korea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(Parmeliaceae, Ascomycota) | MAGNOLIA PRESS | 201410 |
| 213 | Notes on the Lichen Genus Leptogium (Collemataceae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KOREAN SOC MYCOLOGY | 201406 |
| 214 | A Note on the Lichen Genus Ramalina (Ramalinaceae, Ascomycota) in the Hengduan Mountains in China | 한국균학회 | 201409 |
| 215 | An Easy, Rapid, and Cost-Effective Method for DNA Extraction from Various Lichen Taxa and Specimens Suitable for Analysis of Fungal and Algal Strains | KOREAN SOC MYCOLOGY | 201412 |
| 216 |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n-reducing polyketide synthase gene in Cladonia macilenta | ELSEVIER SCIENCE BV | 201501 |
| 217 | Effects of Superabsorbent Polymer on Cyanobacterial Biological Soil Crust Formation in Laboratory | Taylor & Francis | 201501 |
| 218 | Integrating coalescent and phylogenetic approaches to delimit species in the lichen photobiont Trebouxia | ACADEMIC PRESS INC ELSEVIER SCIENCE | 201407 |
| 219 | Inhibitory Activity of (+)-Usnic Acid against Non-Small Cell Lung Cancer Cell Motility | The Public Library of Science | 201601 |
| 220 | Three New Monotypic Genera of the Caloplacoid Lichens (Teloschistaceae, Lichen-Forming Ascomycetes) | KOREAN SOC MYCOLOGY | 201509 |
| 221 | A new species of Fissurina and new records of Graphidaceae from Vietnam | Muséum national d’Histoire naturelle | 201512 |
| 222 | Ovealmbornia reginae (Teloschistaceae, Ascomycetes), a new xanthorioid lichen from South Africa | BLAM E V | 201511 |
| 223 | Lichen Secondary Metabolite, Physciosporin, Inhibits Lung Cancer Cell Motility | PUBLIC LIBRARY SCIENCE | 201509 |
| 224 | Optimization of Protein Extraction for Lichen Thalli | KOREAN SOC MYCOLOGY | 201506 |
| 225 | Evolution of complex symbiotic relationships in a morphologically derived family of lichen-forming fungi | WILEY-BLACKWELL | 201512 |
| 226 | Graphis hongkongensis sp nov and other Graphis spp. new to Hong Kong | MYCOTAXON LTD | 201504 |
| 227 | Graphis yunnanensis (Ostropales, Graphidaceae), a New Lichen Species from China | KOREAN SOC MYCOLOGY | 201506 |
| 228 | Ocellularia lumbschii and O. saxicola spp. nov. from Vietnam | Mycotaxon | 201506 |
| 229 | New records of crustose lichens and a lichenicolous Arthonia from Vietnam | MYCOTAXON LTD | 201504 |
| 230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2 | Akadémiai Kiadó | 201506 |
| 231 | BROWNLIELLOIDEAE, A NEW SUBFAMILY IN THE TELOSCHISTACEAE (LECANOROMYCETES, ASCOMYCOTA) | Akadémiai Kiadó | 201512 |
| 232 | A new species and a new record of the lichen genus Coenogonium (Ostropales: Coenogoniaceae) from South Korea, with a world-wide key to crustose Coenogonium having prothalli | Guizhou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| 201511 |
| 233 | New species and new records of lichenicolous fungi from South Korea | Guizhou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| 201508 |
| 234 | New species and new records of Buellia (Lichenized Ascomycetes) from Jeju provinve,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603 |
| 235 | Lichens of the surrounding areas of Termas of Chilian and Las Trancas, Bio-Bio Region, Chile | 칠레식물학회 | 201606 |
| 236 | Versatile biocatalysis of fungal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| BioMedCentral | 201607 |
| 237 | Combined application of cyanobacteria with soil fixing chemicals for rapid induction of biological soil crust formation | Taylor & Francis | 201607 |
| 238 | Lichen-forming fungus Caloplaca lavourscens inhibits trancription factors chromatin remodeling system in fungi | Oxford journals | 201604 |
| 239 | Evaluation of air quality using lichens in three different types of forest in Korea | Taylor and Francis Ltd. michael.wagreich@univie.ac.at | 201603 |
| 240 | New and Noteworthy liv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4 | Akademiai Kiado | 201606 |
| 241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5 | Akademiai Kiado | 201609 |
| 242 | Fauriea, a new genus of the lecanoroid caloplacoid lichens (Teloschistaceae, Lichen-forming Ascomycetes) | Akademiai Kiado | 201609 |
| 243 | A chemogenomic approach to understand the antifungal action of Lichen-derived vulpinic acid | WILEY-BLACKWELL | 201610 |
| 244 | Heterologous transcription of a polyketide synthase gene from lichen forming fungi Usnea longisiima | Research journal of Biotechnology | 201610 |
| 245 | A multifunctional and potential possible skin UV protectantfilter, (3R)-5-hydroxymellein, produced by an endolichenic fungus isolated from Parmotrema austrosinense | MDPI AG | 201612 |
| 246 | Three New Species and Nine New Records in the Genus Arthonia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612 |
| 247 | New records of Graphis from Cameroon, with a key to African species of Graphis | Mycotaxon | 201612 |
| 248 | Thelenella Haradae sp. nov., a saxicolous lichen from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612 |
| 249 | New and interesting species in the farnily Graphidaceae (Ascomycota: Ostropales) frorn Vietnarn | 영국지의학회 | 201705 |
| 250 | Induction of apoptosis in HL-60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 of lichen forming fungus, Hemithecium oryzaeforme (Fée) Staiger | IJARNP-HS Publication | 201706 |
| 251 | Immunosuppressive Effects of Bryoria sp. (Lichen-Forming Fungus) Extracts via Inhibition of CD8+ T-Cell Proliferation and IL-2 Production in CD4+ T Cells | 한국미생물학회 | 201706 |
| 252 | New monophyletic branches of the Telochistacea (lichen-forming ascomycota) proved by three gene phylogeny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703 |
| 253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6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703 |
| 254 | Rapid development of cyanobacterial crust in the field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| PLOS | 201706 |
| 255 | The Genus Chlorociboria, Blue-Green Micromycetes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706 |
| 256 | Arthothelium punctatum (Arthoniaceae, Arthoniales), A New Lichen Species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712 |
| 257 | Taxonomic Revision of the Lichen Genera Pertusaria, Varicellaria, and Variolaria (Pertusariales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712 |
| 258 | Cryptothecia austrocoreana (Arthoniales, Arthoniaceae), a New Species from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712 |
| 259 | The lichen secondary metabolite atranorin suppresses lung cancer cell motility and tumorigenesis | NATURE PUBLISHING GROUP | 201708 |
| 260 | Key to the lichen families Pyrenulaceae and Trypetheliaceae in Vietnam, with eight new records | Mycotaxon | 201712 |
| 261 | Nematicidal activity of grammicin produced by Xylaria grammica KCTC 13121BP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| Society of Chemical Industry | 201801 |
| 262 | Circumscription and phylogeny of the Lepidostromatales (lichenized Basidiomycota) following discovery of new species from China and Africa | 미국균학회 | 201712 |
| 263 | A new record, Graphis anfractuosa, and an updated taxonomic key of Graphis from Vietnam | CSIR-National Botanical Research Institute | 201802 |
| 264 | Anti-Obesity Property of Lichen Thamnolia vermicularis Extract in 3T3-L1 Cells and Diet-Induced Obese Mice | 한국식품영양과학회 | 201712 |
| 265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7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803 |
| 266 | HOSSEUSIELLA AND REHMANNIELLA,TWO NEW GENERA IN THE TELOSCHISTACEAE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803 |
| 267 | Acetonic extracts of the endolichenic fungus EL002332 isolated from Endocarpon pusillum exhibits | Elsevier | 201803 |
| 268 | New species in the family Graphidaceae (Ascomycota: Ostropales) from the Philippines | Magnolia Press | 201803 |
| 269 | Anti-inflammatory phomalichenones from an endolichenic fungus Phoma sp. | JAPAN ANTIBIOTICS RESEARCH ASSOC | 201804 |
| 270 | Bioactive α‑Pyrone Derivatives from the Endolichenic Fungus Dothideomycetes sp. EL003334 | AMER CHEMICAL SOC | 201804 |
| 271 | New records of Arthoniaceae from Vietnam | MYCOTAXON LTD | 201803 |
| 272 | New records of pyrenocarpous lichens from Jeju Island, South Korea | MYCOTAXON LTD | 201803 |
| 273 | Three new species of lichenized fungi from Qinghai Province, China | MYCOTAXON LTD | 201803 |
| 274 | Assessing phylogeny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largest genus of lichen-forming fungi, Xanthoparmelia(Parmeliaceae, Ascomycota) | 영국지의학회 | 201805 |
| 275 | Revision of the Lichen Genus Stereocaulon (Stereocaulaceae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806 |
| 276 | Tumidulin, a Lichen Secondary Metabolite, Decreases the Stemness Potential of Colorectal Cancer Cells | MDPI | 201811 |
| 277 | Potassium usnate, a water-soluble usnic acid salt, shows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inhibits invasion and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| Nature | 201811 |
| 278 | Effect of Usnic Acid on Osteoclastogenic Activity | MDPI | 201810 |
| 279 | Physciosporin suppresses the proliferation, motility and tumourigenesis of colorectal cancer cells | Elsevier | 201811 |
| 280 | New Species and New Record of Genus Chrysothrix (Chrysotrichaceae, Arthoniales) from South Korea and Chile | 한국균학회 | 201809 |
| 281 | Another lineage of basidiolichen in China, the genera Dictyonema and Lichenomphalia (Agaricales: Hygrophoraceae) | 중구균학회 | 201807 |
| 282 | ENUMERATION OF THE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OF THE C?LIMANI MOUNTAINS (EASTERN CARPATHIANS, ROMANIA)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808 |
| 283 | Endophytic and endolichenic fungal diversity in maritime Antarctica based on cultured material and their evolutionary position among Dikarya | Westerdijk Fungal Biodiversity Institute | 201812 |
| 284 | Graphis lueckingiana, a New Species from Cameroon | 한국균학회 | 201812 |
| 285 | Lichen-Associated Bacterium, a Novel Bioresource of Polyhydroxyalkanoate (PHA) Production and Simultaneous Degradation of Naphthalene and Anthracene |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| 201901 |
| 286 | Lichen chemistry is concordant with multilocus gene genealogy in the genus Cetrelia (Parmeliaceae, Ascomycota) | 영국균학회 | 201901 |
| 287 | Candelaria asiatica, an Ignored New Species from South Korea | KOREAN SOC MYCOLOGY | 201812 |
| 288 |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Candelariella from China and Korea | 한국균헉회 | 201903 |
| 289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8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903 |
| 290 | PHYLOGENY AND TAXONOMY OF POLYOZOSIA, SEDELNIKOVAEA AND VERSEGHYA OF THE LECANORACEAE (LECANORALES, LICHEN-FORMING ASCOMYCOTA)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1903 |
| 291 | Two New Corticolous Buellioid Species from South Korea | Taylor & Francis | 201906 |
| 292 | Sulzbacheromyces sinensis, an Unexpected Basidiolichen, was Newly Discovered from Korean Peninsula and Philippines, with a Phylogenetic Reconstruction of Genus Sulzbacheromyces | Taylor & Francis | 201906 |
| 293 | Extracts of Flavoparmelia sp. Inhibit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-κB ligand-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| Kore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ksbmr@ksbmr.org | 201905 |
| 294 | First report of the lichen Ochrolechia akagiensis (Ochrolechiaceae, Ascomycota) in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ksm@mycology.or.kr | 201906 |
| 295 | Arthonia ulleungdoensis, a New Lichenized Fungus from Ulleung Island, South Korea | MDPI | 201907 |
| 296 | Revision of the Lichen Genus Phaeophyscia and Allied Atranorin Absent Taxa (Physciaceae) in South Korea | MDPI | 201908 |
| 297 | Distribution of Foliicolous Lichen Strigula and Genetic Structure of S. multiformis on Jeju Island, South Korea | MPDI | 201910 |
| 298 | THREE NEW GENERA OF THE RAMALINACEAE (LICHEN-FORMING ASCOMYCOTA) AND THE PHENOMENON OF PRESENCE OF ‘EXTRANEOUS MYCOBIONT DNA’ IN LICHEN ASSOCIATIONS | 헝가리 자연사 박물관 | 201910 |
| 299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9 | 헝가리 자연사 박물관 | 201910 |
| 300 | Lichen Secondary Metabolite Physciosporin Decreases the Stemness Potential of Colorectal Cancer Cells | MDPI | 201911 |
| 301 | Arthonia dokdoensis and Rufoplaca toktoana ? Two New Taxa from Dokdo Islands (South Korea) | 한국균학회 | 201912 |
| 302 | Anti-inflammatory effects of usnic acid in an MPTP-induced mouse model of Parkinson’s disease | Elsevier | 202001 |
| 303 |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Endolichenic Fungi in Jeju Island, South Korea | MDPI | 202005 |
| 304 | Two new foliicolous species of Strigula (Strigulaceae, Strigulales) in Korea offer insight in phorophyte-dependent variation of thallus morphology | MAGNOLIA PRESS | 202005 |
| 305 | A new lichenized fungus, Lecanora baekdudaeganensis, from South Korea, with a taxonomic key for Korean Lecanora species | Pensoft Pubulishers | 202007 |
| 306 | A new lichen-forming fungus, Orientophila corticola, from South Korea, with a key to the genus | Elsevier B.V. | 202009 |
| 307 | Two New Lichen Species, Thelopsis ullungdoensis and Phylloblastia gyeongsangbukensis from Korea | Taylor and Francis Ltd.michael.wagreich@univie.ac.at | 202010 |
| 308 | Current taxonomy of the lichen family teloschistaceae from India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es | Akademiai Kiado Rt. | 202010 |
| 309 | Atraric acid exhibits anti-inflamma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-stimulated RAW264.7 cells and mouse models | MDPI AG | 202010 |
| 310 | New and noteworthy lichen-forming and lichenicolous fungi 10 | Akademiai Kiado Rt.info@akkrt.hu | 202003 |
| 311 | Neuroprotective and anti-inflammatory effects of evernic acid in an MPTP-induced parkinson’s disease model | MDPI AG | 202102 |
| 312 | A community resource for paired genomic and metabolomic data mining | Nature Research | 202101 |
| 313 | Establishment of agrobacterium tumefaciens-mediated transformation of cladonia macilenta, a model lichen-forming fungus | MDPI AG | 202103 |
| 314 | Induction of apoptosis in mda-mb-231 cells treated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lichen physconia hokkaidensis | MDPI AG | 202103 |
| 315 | Effect of isolation conditions on diversity of endolichenic fungal communities from a foliose lichen, parmotrema tinctorum | MDPI AG | 202104 |
| 316 | Transcriptome analysis identifies a gene cluster for the biosynthesis of biruloquinone, a rare phenanthraquinone, in a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acilenta | MDPI AG | 202105 |
| 317 | Linking a Gene Cluster to Atranorin, a Major Cortical Substance of Lichens, through Genetic Dereplication and Heterologous Expression | NLM (Medline) | 202106 |
| 318 | Production and activity of cristazarin in the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etacorallifera | MDPI AG | 202108 |
| 319 | Physciosporin suppresses mitochondrial respiration, aerobic glycolysis, and tumorigenesis in breast cancer | Elsevier | 202107 |
| 320 | Two new calcicolous caloplacoid lichens from South Korea,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Huriella and Squamulea | Pensoft Publishers | 202111 |
| 321 | Evaluation of Antimicrobial Properties of Lichen Substances against Plant Pathogen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202 |
| 322 | Two new lecanoroid lichen species from the forested wetlands of south korea, with a key for korean protoparmeliopsis species | Pensoft Publishers | 202111 |
| 323 | A New Lichen-Forming Fungus, Aspicilia humida, from a Forested Wetland in South Korea, with a Taxonomic Key for Aspicilioid Species of Korea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201 |
| 324 | Two new Rinodina lichens from South Korea, with an updated key to the species of Rinodina in the far eastern Asia | Pensoft Publishers | 202202 |
| 325 | Endolichenic Fungal Community Analysis by Pure Culture Isolation and Metabarcoding: A Case Study of Parmotrema tinctorum | 한국균학회 | 202202 |
| 326 | A New Lichenized Fungus, Psoroglaena humidosilvae, from a Forested Wetland of Korea,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Psoroglaena | MDPI | 202204 |
| 327 | 7-Hydroxy-2-octenoic acid-ethyl ester mixture as an UV protectant secondary metabolite of an endolichenic fungus isolated from Menegazzia terebrata |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Deutschland GmbH | 202206 |
| 328 | Jejulea byssolomoides gen. et sp. nov., a Remarkable Pilocarpaceae (Lichen-Forming Ascomycetes) from Jeju Island, South Korea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206 |
| 329 | A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lichen-forming fungi reveals new insights into fungal lifestyles | Nature Research | 202206 |
| 330 | An acetonic extract and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endolichenic fungus Nemania sp. EL006872 exhibit immune checkpoint inhibitory activity in lung cancer cell | Frontiers Media S.A. | 202209 |
| 331 | A new species and four new records of Bacidia (Lecanorales, Ramalinaceae) from South Korea, with a key to Korean species | Pensoft | 202210 |
| 332 | Ulleungdolin, a Polyketide-Peptide Hybrid Bearing a 2,4-Di-O-methyl-β-D-antiarose from Streptomyces sp. 13F051 Co-cultured with Leohumicola minima 15S071 | American Chemical Society | 202201 |
| 333 | Libertellenone T, a Novel Compound Isolated from Endolichenic Fungus, Induces G2/M Phase Arrest, Apoptosis, and Autophagy by Activating the ROS/JNK Pathway in Colorectal Cancer Cells | MDPI | 202301 |
| 334 | Topical Delivery of Atraric Acid Derived from Stereocaulon japonicum with Enhanced Skin Permeation and Hair Regrowth Activity for Androgenic Alopecia | MDPI | 202301 |
| 335 | Discovery of Pan-peroxisome Proliferator-Activated Receptor Modulators from an Endolichenic Fungus, Daldinia childiae | American Chemical Society | 202212 |
| 336 | The Revision of Lichen Flora Around Maxwell Bay, King George Island, Maritime Antarctic | The Korean Society for Mocrobiology / The Korean Society of Virology | 202302 |
| 337 | Identification of a biosynthetic gene cluster for a red pigment cristazarin produced by a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etacorallifera | NLM (Medline) | 202306 |
| 338 | A New Lichenized Fungus, Lendemeriella luteoaurantia, with a Key to the Species of Lendemeriella | MDPI | 202307 |
| 339 | A fatty acid-rich fraction of an endolichenic fungus Phoma sp. suppresses immune checkpoint markers via AhR/ARNT and ESR1 | Elsevier Ltd. | 202308 |
| 340 | Daldipyrenones A?C: Caged [6,6,6,6,6] Polyketides Derived from an Endolichenic Fungus Daldinia pyrenaica 047188 | ACB publications | 202308 |
| 341 | Fungal community inside lichen: a curious case of sparse diversity and high modularity | Springer Nature | 202310 |
| 342 | Lichen as Bioindicators: Assessing their Response to Heavy Metal Pollution in Their Native Ecosystem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309 |
| 343 | Exploring the influence of climatic variables on mycobiome composition and community diversity in lichens: insigh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| Springer Nature | 202310 |
| 344 | Discovery of Naphthol Tetramers from Endolichenic Fungus Daldinia childiae 047219 Based on MS/MS Molecular Networking | American Chemical Society | 202308 |
| 345 | Phthalides Isolated from the Endolichenic Arthrinium sp. EL000127 Exhibits Antiangiogenic Activity | American Chemical Society | 202303 |
| 346 | Induction of Fungal Secondary Metabolites by Co-Culture with Actinomycete Producing HDAC Inhibitor Trichostatins | 한국미생물공학회 | 202311 |
| 347 | Endolichenic Fungi Extracts: A Promising Alternative for Ultraviolet Protection in Cosmetics? | SOC COSMETIC CHEMISTS | 202308 |
| 348 | Arthonia apatetica (Arthoniales, Arthoniaceae) new to northeastern Asia | 한국미생물학회 | 202306 |
| 349 | Continental scale comparison of mycobiomes in Parmelia and Peltigera lichens from Turkey and South Korea | Springer Nature | 202407 |
| 350 | Threenewditerpenoids,plectalibertellenonesA–C, isolatedfrom endolichenicfungiPseudoplectaniasp.EL00032 | Elsevier Ltd. | 202408 |
| 351 |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Endolichenic Fungi in Different Culture Medi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410 |
| 352 | Generation of a Clean Host for Polyketide Production Using Agricultural Wastes in Ascochyta Rabiei | 한국균학회 | 202502 |
| 353 | Atraric Acid Induces Hair Growth through the Stimulation of Sonic Hedgehog/GLI1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| Springer | 202410 |
| 354 | Lobaric acid suppresses the stemness potential of colorectal cancer cells through mTOR/AKT | Wiley | 202501 |
| 355 | Distribution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Korean Foliicolous Lichen, Strigula depressa | TAYLOR & FRANCIS LTD | 202507 |
| 356 | Contributions to molecular phylogeny of lichens 5: Three new genera in the Teloschistaceae: Bagliettoella, Josefhafellia and Tsarenkoella and new combinations | 헝가리자연사박물관 | 202506 |
| 357 | 4-O-Demethylbarbatic acid has a novel therapeutic impact on the progression of EGFR-driven lung adenocarcinoma | Elsevier | 202509 |
| 358 | Uncovering Hidden Lineages in Korean Foliicolous Lichens (Strigulaceae, Strigulales): Discovery of a New Cryptic Genus and Species | TAYLOR & FRANCIS LTD | 202507 |
| 359 | Novel oxabicyclo[2.2.1]heptane-3-one derivatives with NO inhibitory and cytotoxic activities, and xanthone derivatives from the endolichenic fungus Exophiala sp. | Elsevier | 202508 |
| 360 | Anti-Parkinsonian 4-hydroxy-2-pyridones from an endolichenic fungus, Tolypocladium sp. (strain CNC14) | Oxford Academic | 202509 |
| 361 | Physciosporin targeting of cellular myelocytomatosis oncogene in gastric cancer suppresses energy metabolism and metastasis via lysosomal degradation | Elsevier | 202509 |
| 362 | The lichen genus Lepraria (Stereocaulaceae) in South Korea | Mycotaxon | 201006 |
| 363 | The Depside Derivative Pericodepside Inhibits Cancer Cell Metastasis and Proliferation by Suppressing Epithelial?Mesenchymal Transition | ACS publications | 202402 |
| 364 | Cercosporamide a polyketide derived fungal metabolite serves as an antifungal agent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| 일본균학회 | 202401 |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
|---|---|---|---|
| 1 | 환경, 인류,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 | 월드사이언스 | 2005-02-19 |
| 2 | 한국의 Pestalotiopsis 속 균류 | 정행사 | 2006-05-01 |
| 3 |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준별 환경교육 프로그램(초급) | (주)환경과더불어 | 2007-01-15 |
| 4 | 애미메이션을 활용한 수준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(중급) | (주)환경과더불어 | 2007-01-15 |
| 5 | 애미메이션을 활용한 수준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(고급) | (주)환경과더불어 | 2007-01-15 |
| 6 | Recent Advances in Lichenology Vol. 2. Chapter 11. Anticancer activity of lichen metabolites and their mechanisms at the molecular level | Springer | 2015-01-15 |
| 7 | 지의류생태도감 | 지오북 | 2015-11-25 |
| 8 | 한국산 지의류 도감 I | 국립수목원 | 2016-10-30 |
| 9 | 한국산 지의류 도감 II | 국립수목원 | 2017-10-31 |
| 10 | 기후소양 | 21세기사 | 2024-03-05 |
| 11 | 환경과학 | 신호서적 | 2001-08-10 |
| 12 | 환경생물학 | 정문각 | 2000-03-02 |
| 13 | 2005 과학영재교육원 교재 중등생물(심화과정) | 도서출판 지성계 | 2006-02-01 |
| 14 | 2006과학영재교육 교재 중등생물(심화과정) | 한우리 | 2007-02-01 |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
|---|---|---|---|
| 1 | 오존 및 TiO₂광촉매를 이용한 농산물 살균처리장치(APPARATUS FOR DISINFECT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OZONE AND TiO2 PHOTOCATALYST) | 등록 | 2005.03.24 |
| 2 | 오존 및 TiO₂광촉매를 이용한 농산물 살균처리장치(APPARATUS FOR DISINFECT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OZONE AND TiO2 PHOTOCATALYST) | 출원 | 2003.07.04 |
| 3 |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| 출원 | 2009.08.18 |
| 4 | 지의류 추출물 및/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| 출원 | 2009.09.07 |
| 5 | 이끼식물의 재배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배기 | 출원 | 2009.09.30 |
| 6 | 지의류 형성 곰팡이 생장 촉진 및 천연생리활성물질 대량 생산을 위한 저면 공기부양식 인공배양장치 | 출원 | 2009.10.08 |
| 7 | 클라도니아 마실렌타 퍼플(Cladonia macilenta purple) 균체 또는 이의 배양 추출물 및/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비루로퀴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| 출원 | 2009.11.25 |
| 8 | 지의류 또는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래의 제초용 조성물 | 출원 | 2009.12.09 |
| 9 | 지의류를 이용한 생태복원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| 출원 | 2010.07.19 |
| 10 | 지의류 지의체의 대량생상방법,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지의체를 이용한 생태복원 방법 및 그 생태복원용 | 출원 | 2010.07.15 |
| 11 | CELL OR CULTURE EXTRACT OF CLADONIA MACILENTA PURPLE AND/OR BIRULOQUINONE A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| 출원 | 2010.11.25 |
| 12 |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| 출원 | 2011.08.12 |
| 13 | 이끼식물의 재배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배기 | 출원 | 2011.08.22 |
| 14 | 지의류 추출물 및/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(Antioxidants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chens and/or compounds) | 등록 | 2011.11.09 |
| 15 | 지의류 또는 지의류 형성 곰팡이 유래의 제초용 조성물(Bioherbicidal compositions derived from lichens or lichen forming fungi) | 등록 | 2011.11.09 |
| 16 | 이끼식물의 엽편 배양 방법(Methods for cultivating laminas of Sphagnum moss) | 등록 | 2011.12.08 |
| 17 | 클라도니아 마실렌타 퍼플 균체 또는 이의 배양 추출물, 및/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비루로퀴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(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comprising the extracts of Cladonia macilenta purple or culture borth and/or biruloquinone) | 등록 | 2012.04.20 |
| 18 |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(Compositions for protecting Plant diseases) | 등록 | 2012.04.27 |
| 19 | 이끼식물의 재배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배기(Methods for cultivating Sphagnum moss and growth medium for them) | 등록 | 2012.11.26 |
| 20 |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(Compositions for protecting Plant diseases) | 등록 | 2012.07.12 |
| 21 |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| 등록 | 2013.10.21 |
| 22 | 지의류 형성 자낭균의 형질전환시스템 | 출원 | 2013.11.21 |
| 23 |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추출물 또눈 시탈론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| 출원 | 2013.09.17 |
| 24 | 지의류형성 곰팡이의 추출물 또는 시탈론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| 등록 | 2013.12.13 |
| 25 | 지의류 지의체의 대량생산방법,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지의체를 | 등록 | 2015.08.03 |
| 26 | 탐노리아 버미큐라리스 추출물 또는 세트라리아 에리세토럼 추출물, 또는 탐노릭 산 또는 퓨마프로토세트라릭 산, 또는 이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(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comprising extracts of Thamnolia vermicular... | 등록 | 2016.03.30 |
| 27 | 신규 지의류 내생 곰팡이 및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또는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(Novel endolichenic fungi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ment of gastric cancer or colorectal cancer comprising extracts thereof) | 등록 | 2016.04.28 |
| 28 | 슈도사이펠라리아 코리아세아 추출물, 또는 피스키오스포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(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lung cancer metastasis comprising extracts of Pseudocyphellaria coriacea, or physciosporin or salt the... | 등록 | 2016.07.20 |
| 29 | 조류를 이용한 생태복원용 블록의 제조방법(Manufacturing method of blocks for ecological restoration by using algae) | 등록 | 2016.12.01 |
| 30 | 생태복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 방법(Composi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and method for restoring the degraded ecology by them) | 등록 | 2017.02.06 |
| 31 | 지의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| 등록 | 2017.06.30 |
| 32 | 스틱타 위겔리 추출물, 또는 브레비시드 X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| 등록 | 2018.05.18 |
| 33 | 신규한 지의류 내생곰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,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| 등록 | 2018.07.31 |
| 34 |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생산하는 지의류 유래 내생 세균 및 이를 이용하여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생산하는 방법(Ichen-associated endolichenic bacteria producing Polyhydroxyalkanoate and the method of producing Polyhydroxyalkanoate by using the sa... | 등록 | 2020.03.03 |
| 35 |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(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lichen extract) | 등록 | 2020.07.02 |
| 36 | 아트라릭산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(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atraric acid) | 등록 | 2021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