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|
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기녀시조의 미의식과 여성주의적 성격 | 순천대학교 | 20090301~20100228 |
| 2 | (교내)<오우가>의 작품 세계와 형상화의 의미 | 순천대학교 | 20210401~20220228 |
| 3 | 우리어문학회의 활동 양상과<국문학사> | 한국학술진흥재단 | 20091101~20101030 |
| 4 | 벽소시고 역주사업 연구 용역 | 순천시 | 20210329~20210924 |
| 5 | '만횡청류'의 성격과 사설시조의 형성에 대한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40601~20250228 |
| 6 | (교내)우리어문학회의 국문학 인식-「국문학개론」을 중심으로 | 순천대학교 | 20170301~20180228 |
| 7 | 우리어문학회의 구성원과 학술활동-기관지 <어문>을 중심으로(2011학년도 선정) | 순천대학교 | 20110703~20120702 |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
|---|---|---|---|
| 1 | 고전시가, 논쟁의 복원을 위하여 | 민족문학사학회 | 200808 |
| 2 | 안민영과 흥선대원군 - 『금옥총부』 를 중심으로 - | 배달말학회 | 200812 |
| 3 | <시죠(詩調)>(단대본)의 문헌적 성격과 수록 작품의 양상 | 한국고전문학회 | 200906 |
| 4 | <봉래악부>의 성격과 신헌조의 작품 세계 | 한국시가학회 | 201005 |
| 5 | <평산신씨가승>의 성격과 신헌조 시조의 유포 양상 | 한민족어문학회 | 201006 |
| 6 | 신재효 가사 연구 | 남도문화연구소 | 201012 |
| 7 | 벽소 이영민과 <순천가> | 한민족어문학회 | 201106 |
| 8 | <여창가요록>의 정립 과정과 이본 특성 |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| 201304 |
| 9 | 기녀시조의 작자 변증과 작품의 향유 양상 | 민족문학사학회 | 201312 |
| 10 | 기녀시조의 미의식과 여성주의적 성격 | 남도문화연구소 | 201312 |
| 11 | ‘우리어문학회’의 활동 양상과 국문학사 | 남도문화연구소 | 201406 |
| 12 | 시조에 투영된 대청(對淸) 인식의 양상-‘병자호란’의 기억을 중심으로 | 배달말학회 | 201412 |
| 13 | 우리어문학회의 구성원과 학술활동 | 민족문학사학회 | 201512 |
| 14 | 안서우의 생애와 시조 창작 배경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1602 |
| 15 | 안서우 <유원십이곡>의 구조와 작품 세계 | 한국시가학회 | 201611 |
| 16 | <어부사시사>에 나타난 ‘자연’ 인식과 작품 세계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1708 |
| 17 | 봄날의 꿈속에서 님과의 재회를 기원하다, <춘면곡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803 |
| 18 | 변방의 부인지로 향하는 관리의 여정을 더듬다, <관서별곡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806 |
| 19 | 순천의 유적과 명승을 따라 거닐다, <순천가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809 |
| 20 | 전란의 뒤끝에서 평화를 기원하다, 선상탄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812 |
| 21 | 영월에서 삼척까지 화자의 여정을 따라 거닐다, 영삼별곡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903 |
| 22 | 전란의 과정을 되짚으며 승리의 기쁨을 노래하다, 태평사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906 |
| 23 | 화자가 처한 현실의 궁함에 대해서 탄식하다, 탄궁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909 |
| 24 |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'우활'을 떠올리다, 우활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1912 |
| 25 | 고정옥의 국문학 갈래 인식과 민요론 |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| 201911 |
| 26 | 조선 후기 농민들ㅣ 처한 현실을 노래하다, 기음노래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003 |
| 27 | 전란의 와중에 백상루의 승경을 노래하다, 백상루별곡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006 |
| 28 | 노처녀의 결혼에 대한 욕망을 노래하다, 노처녀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009 |
| 29 | 우리어문학회의 국문학 인식-『국문학개론』을 중심으로 | 민족문학사연구소 | 202008 |
| 30 | <산중신곡> 연작의 구조와 자연 형상의 의미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2008 |
| 31 | 여성들의 화전놀이를 비웃다, 조화전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012 |
| 32 | 조롱에 맞서 화전놀이의 의미를 일깨우다, 반조화전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103 |
| 33 | 금속행용가곡의 성격과 문학적 위상 |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| 202104 |
| 34 | 관념으로 직조해 낸 한강 서호의 형상, 서호별곡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106 |
| 35 | 여승을 향한 사대부 남성의 연정 표출, 승가타령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109 |
| 36 | 삶의 터전으로서 담양의 거처와 생활을 노래하다, 낙지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201 |
| 37 | <노처녀가>에 나타난 여성의 목소리와 그 의미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2202 |
| 38 | 유배로 인한 상처와 그 사연을 대화로 풀어내다, 별사미인곡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203 |
| 39 | 만년에 머물 장소의 풍경과 삶의 모습을 그리다, 노계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206 |
| 40 | 서방세계로의 왕생을 기원하는 노래, 서왕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209 |
| 41 | <견회요>의 작품 세계와 윤선도의 현실 인식 | 인문학술원 | 202212 |
| 42 | 버려진 신세를 한탄하며 자신의 처지를 애도하다, 자도사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212 |
| 43 | <오우가>의 작품 세계와 형상화의 의미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2302 |
| 44 | 판소리 창자의 자질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다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303 |
| 45 | 왜구와의 전투에서 승전의 기억을 서술하다, <남정가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306 |
| 46 | 죽은 남편을 따르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다, 명도자탄사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309 |
| 47 | <남정가>의 창작 의도와 작품 세계 | 남도문화연구소 | 202312 |
| 48 | 임진왜란 초기의 절망적인 상황을 그려내다, 용사음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312 |
| 49 | 『벽소시고(碧笑詩稿)』의 편제와 이영민 한시의 특징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2402 |
| 50 | 허랑한 삶의 끝에 닥쳐온 늙음을 한탄하다, 백발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403 |
| 51 | 은퇴 이후 강호에서의 삶을 대신하여 그려내다, 사제곡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406 |
| 52 | 장흥에서 뱃길로 금당도와 만화도를 유람하다, <금당별곡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409 |
| 53 | 윤선도 시조 <초연곡>과 <파연곡>의 창작 맥락과 작품 세계 | 한국고전문학회 | 202412 |
| 54 | 향락적인 관리들의 행태와 고통받는 민중들을 그려내다, 합강정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412 |
| 55 | <금당별곡>의 작품 세계와 의식 지향 | 한국시가문화학회 | 202502 |
| 56 | 유배의 처지에서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다, 북찬가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506 |
| 57 | 장흥 천관산을 돌아보며 빼어난 풍광을 노래하다, <천풍가> | 한국가사문학관 | 202503 |
| 58 | 해방 직후 국문학 연구의 전개 양상 -‘우리어문학회’를 중심으로- | 국어문학회 | 202303 |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
|---|---|---|---|
| 1 |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| 인물과 사상사 | 2008-03-18 |
| 2 | 새 민족문학사 강좌 01 | 창비 | 2009-05-29 |
| 3 | 고시조 문헌 해제 |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| 2012-08-31 |
| 4 | 옛 노래의 숲을 거닐다 | 리더스가이드 | 2013-07-30 |
| 5 | 조선 지식인의 음악, 가곡 : 그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 | 계명대학교 출판부 | 2015-02-27 |
| 6 | 조선 후기 시조사의 지형과 탐색 | 태학사 | 2016-07-15 |
| 7 | 한국 현대문학의 향연 | 역락 | 2017-08-31 |
| 8 | 독서와 표현 | 태학사 | 2018-02-28 |
| 9 | 한국고전문학작품론 3 고전시가 | 휴머니스트 | 2018-06-25 |
| 10 |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| 한티재 | 2019-08-05 |
| 11 | 가사, 조선의 마음을 담은 노래 | 휴머니스트 | 2020-10-26 |
| 12 | 병와 이형상의 학문과 사상 | 중문출판사 | 2021-04-28 |
| 13 | 다시, 시로 읽는 세상 | 휴머니스트 | 2021-05-21 |
| 14 | 고정옥과 우리어문학회 | 보고사 | 2022-12-14 |
| 15 | 윤선도시조집 | 지식을만드는지식 | 2016-05-16 |
| 16 | 한국 명품가사 100선(1권) | 태학사 | 2019-06-25 |
| 17 | 한국 명품가사 100선(2권) | 태학사 | 2019-06-25 |
| 18 | 금옥총부 | 지만지한국문학 | 2023-10-17 |
| 19 | 벽소시고(碧笑詩稿) | 지만지한국문학 | 2024-07-12 |
| 20 | 고시조대전 |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| 2012-07-30 |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|
||||||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