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
   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 | 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낙엽활엽수림에서의 치수 페놀로지가 산림갱신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연구재단 | 20130501~20140430 | 
| 2 | 삼선산수목원 토양환경 특성 분석에 따른 수목관리방안 연구용역 | 당진시 | 20190621~20200831 | 
| 3 | 재활용 인공토양의 물리성 분석 용역 시행 | 순천시 | 20201020~20201116 | 
| 4 | 2021년 제2차 월출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수립 용역 | 국립공원공단월출산국립공원사무소 | 20211222~20221021 | 
| 5 | 2015년 특용 유용자원 실태조사 연구 용역 | 산림청 | 20151012~20151211 | 
| 6 | 낙엽활엽수림에서의 치수 페놀로지가 산림갱신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연구재단 | 20120501~20130430 | 
| 7 | 낙엽활엽수림에서의 치수 페놀로지가 산림갱신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연구재단 | 20140501~20150430 | 
| 8 | 전라남도 산악형 도립공원 원스톱 민원해결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|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 | 20230401~20231231 | 
| 9 | 노출간척지 배수체계 구축, 배수층재에 의한 염분차단 및 토양수분보존 기법 개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20321~20130320 | 
| 10 | 신안군 증도면 한반도 해송숲 지속적 관리방안 연구용역 | 신안군 | 20201116~20201230 | 
| 11 | 사찰림의 자연환경 기초조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| 한국임업진흥원 | 20220401~20221231 | 
| 12 | 노출간척지 배수체계 구축, 배수층재에 의한 염분차단 및 토양수분보존 기법 개발 | 산림청 | 20130321~20140320 | 
| 13 | 2019지리산본부 일제강점기 지리산 조사연구문헌 연구 용역 | 국립공원공단 | 20190627~20191124 | 
| 14 | 사찰림의 자연환경 기초조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| 산림청 | 20230101~20241231 | 
| 15 | (교내)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의 방문패턴과 인식분석 | 순천대학교 | 20180301~20190228 | 
| 16 | 도서지역 훼손유형화 및 실무형 산림목원기법 개발 | 산림청 | 20200401~20201231 | 
| 17 | 도서지역 훼손유형화 및 실무형 산림복원기법 개발 | 산림청 | 20210101~20211231 | 
| 18 | (교내)산림 너덜지대의 경관 변화 및 식생 특성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00301~20210228 | 
| 19 | 스마트팜 재배 정원식물의 수요 예측 및 국제 무역체계 구축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40701~20250228 | 
| 20 | (교내)클론식물인 조릿대류의 생존전략 해명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160826~20180225 | 
| 21 | 도서지역 훼손유형화 및 실무형 산림복원기법 개발 | 한국임업진흥원 | 20220101~20221231 | 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일본 규슈지역에서의 조경수로서 상록활엽수의 이용실태 분석 |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| 201112 | 
| 2 |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분석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202 | 
| 3 | 한라산 동서사면의 해발고도에 따른 좀꽝꽝나무 잎의 변이 | 한국산림휴양학회 | 201206 | 
| 4 | 조릿대의 생장특성 및 입지환경요인 | 한국환경복원학회 | 201304 | 
| 5 |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308 | 
| 6 | Woodpeckers Appearance and Forest Vegetation Type in Urban Forests of Seoul Area, Korea | KYUSHU UNIVERSITY | 201305 | 
| 7 |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야영지 지역의 복원 후 식생변화 | 한국산림휴양학회 | 201306 | 
| 8 | 조경용 철쭉재배품종의 형태적 특성 및 분류기준 | 한국조경학회 | 201404 | 
| 9 | 조경업체에서의 철쭉재배품종의 혼선 및 이용실태 분석 | 한국조경학회 | 201404 | 
| 10 | 국내 조경용 철쭉류의 가격 및 종수 추이분석 | 한국조경학회 | 201408 | 
| 11 | 낙남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412 | 
| 12 | Studies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Vergetation Structure of the Tongdosa Temple Forest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502 | 
| 13 | 남한 정맥 마루금의 산림식생유형 및 식생구조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510 | 
| 14 |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510 | 
| 15 |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512 | 
| 16 |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606 | 
| 17 |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소나무우점군락 특성- 백병산, 칠보산, 백암산, 운주산, 고헌산을 중심으로 -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608 | 
| 18 |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특성 연구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608 | 
| 19 | Evaluation of regeneration potential for an artificial larch forest using light condition, plant species diversity, and plant coverage and biomass of the forest understory | KYUSHU UNIVERSITY | 201702 | 
| 20 |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? -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-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802 | 
| 21 | 태백산도립공원의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변화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606 | 
| 22 |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패턴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704 | 
| 23 | 차광처리에 따른 애기소엽맥문동의 생장과 피복에 관한 연구 | 한국조경학회 | 201704 | 
| 24 | 전남 사찰림에서의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 연구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708 | 
| 25 | A Study of the Leaf Phenology and Thermonastic Leaf Movement of Daphniphyllum macropodum | Kyushu University | 201708 | 
| 26 |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, Population Density, and Diversity of the Soil Seed Bank and Standing Vegetation i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Korea | Kyushu University | 201708 | 
| 27 | A Study on the Effects of Light Conditions on the Longevity and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Leaves | KYUSHU UNIVERSITY | 201802 | 
| 28 |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-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-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802 | 
| 29 | 한남금북,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812 | 
| 30 | 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-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-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812 | 
| 31 | 일본 특별천연기념물 녹나무군락의 특성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902 | 
| 32 |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902 | 
| 33 |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 이용행태 및 인식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1912 | 
| 34 | 정량적 식생분석을 통한 금남호남 호남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008 | 
| 35 |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 특성 -백병산, 칠보산, 백암산, 운주산, 고헌산, 구덕산을 중심으로-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008 | 
| 36 | 전남 신안군 한반도해송숲의 곰솔 수세약화 원인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108 | 
| 37 |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Castanopsis sieboldii (Makino) Hatus (Fagaceae)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108 | 
| 38 | 전라남도 섬 지역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적합지 예측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110 | 
| 39 |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난온대 식생유형화 및 훼손등급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112 | 
| 40 | 난온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(Ⅲ)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02 | 
| 41 |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식생구조 특성 및 식물상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04 | 
| 42 |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·우선순위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06 | 
| 43 | 자연림 복원을 위한 모듈군락식재 실험연구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06 | 
| 44 | 한반도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식생유형 특징 및 복원전략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10 | 
| 45 | 부산 태종대 식생관리를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212 | 
| 46 | 무등산국립공원의 암설사면 분포변화 및 식생 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302 | 
| 47 | 시비처리에 따른 후박나무의 생리 및 생장 반응 | 한국자원식물학회 | 202303 | 
| 48 | 차광처리에 따른 후박나무 용기묘의 생리 및 생장 반응 | 농업생명과학연구원 | 202303 | 
| 49 |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크워크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404 | 
| 50 |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칠보치마 자생지의 식물상 및 환경특성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410 | 
| 51 |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 식생 특성 및 관리방안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410 | 
| 52 |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Bamboo Forest on Forest Plant Communities | KYUSHU UNIV, FACULTY AGRICULTURAL PUBLICATIONS | 202410 | 
| 53 | 중국 조경식물의 대한국 컨테이너 항만운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| 한국항만경제학회 | 202412 | 
| 54 | Experimental Study on Plant Species Introduction through Wildlife–Mediated Seed Dispersal | Faculty of Agriculture, Kyushu University | 202502 | 
| 55 |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전략 제언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506 | 
| 56 | 자연공원 민원 대응체계 정립을 위한 제도적 진단과 개선 방안– 전라남도 산악형 도립공원 사례분석 기반 – |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| 202506 | 
| 57 |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 사찰림의 100여 년간의 식생 변화 분석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508 | 
| 58 | 고흡수성 수지 기반 토양보습제 첨가에 따른 유효수분량 변화 | 한국환경생태학회 | 202508 | 
| 59 |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Sunscald in Urban Street Trees | Faculty of Agriculture, Kyushu University | 202509 | 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조경관리학 | (주)라이프사이언스 | 2015-08-31 | 
| 2 | 도서지역 산림복원 실무 매뉴얼-난대림 특성 및 산림복원의 이해- | 디자인포스트 | 2022-12-30 | 
| 3 | 기후소양 | 도서출판 21세기사 | 2024-03-15 | 
| 4 | 식물군집의 구조와 다양성의 해석 |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출판부 | 2020-01-15 | 
| 5 | 꽃을 피우는 흙 : 정원토양학 | 북스힐 | 2022-09-05 | 
| 6 | 컨테이너묘목 생산과 사업관리 지침서 | 예일디자인프린팅 | 2025-01-22 | 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정수, 하수슬러지 및 전정부산물을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| 등록 | 2021.07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