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
   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 | 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저장 농산물 해충 발생과 독소생성 독성곰팡이 발생간의 상관관계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170101~20171231 | 
| 2 | 복숭아씨살이좀벌 월동 및 발생생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150101~20151231 | 
| 3 | 복숭아씨살이좀벌 월동 및 발생생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160101~20161231 | 
| 4 | 노린재 알기생봉 알깡충좀벌(Ooencyrtus nezarae)의 대량인공사육기술 개발 |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161218~20171217 | 
| 5 | 국가생물종 확증표본시스템 구축사업의 확증표본 정보 확보사업(곤충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30429~20131028 | 
| 6 | 애못털진딧물의 천적연구개발 및 천적이용 친환경 딸기 재배방법 연구개발 | 기타지방자치단체 | 20190130~20210129 | 
| 7 | 유럽좁쌀바구미의 발육생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190101~20191231 | 
| 8 | 솔수염하늘소 천적, 가시고치벌의 발생 및 생활사 특성 규명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70301~20171130 | 
| 9 | 육계 농장 딱정벌레 오염 실태 및 방제 방안에 관한 연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90101~20191115 | 
| 10 | 신남방정책에 따른 수출 과실류 최적 소독기법 개발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10205~20211115 | 
| 11 | 관리병해충 제도개선을 위한 병해충 최신 정보조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10101~20211115 | 
| 12 | 검역 및 농업 해충류 인공지능 영상판독 시스템 개발 |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210127~20211231 | 
| 13 | 최우선 유입 우려 병해충 선정 및 병해충별 대응매뉴얼 개발 연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20101~20221115 | 
| 14 | 최우선 유입 우려 병해충 선정 및 병해충별 대응매뉴얼 개발 연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50101~20251115 | 
| 15 | 2024년 솔껍질깍지벌레 발생 조사 및 시기별 방제효과 조사(전남권역) | 산림청 | 20240219~20241130 | 
| 16 | 묘목류 경로위험분석을 위한 품목별 병해충 자료 조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40328~20141130 | 
| 17 | 선박에서 검출된 해충의 형태적 분석 및 분류 정보 풀 구축 | 농림축산식품부 | 20200101~20201115 | 
| 18 | 관리병해충 제도 개선을 위한 병해충 최신 정보 조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90101~20191115 | 
| 19 | 생활권 소나무 보존을 위한 가압식 나무주사기 적용 실연시험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70412~20171215 | 
| 20 | 병해충 정밀 분포조사 및 정밀예찰 기술개발 사업전략 수립 | 농촌진흥청 | 20220519~20221114 | 
| 21 | 관리병해충 제도개선을 위한 병해충 최신 정보조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20101~20221115 | 
| 22 | 대만 수출용 신선채소류 해충 방제 체계 구축 |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200501~20210131 | 
| 23 | 무화과곰보바구미 성충 약효 분석 | 국립농업과학원 | 20240613~20240812 | 
| 24 | 주요 수출 신선농산물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소독처리기준 개발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50101~20251115 | 
| 25 | 2023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30307~20231231 | 
| 26 | 주요 채소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40101~20241231 | 
| 27 | 백운산 지역 곤충 생태조사 연구 |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 | 20150421~20151231 | 
| 28 | 2014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40401~20141231 | 
| 29 | 2016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60330~20161231 | 
| 30 | 순천대학교 수목진단센터 운영 및 나무좀류 방제법 개발(계속)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60322~20161215 | 
| 31 | 2019 순천대학교 수목진단센터 운영 및 실연연구과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90403~20191213 | 
| 32 | 남부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190101~20191231 | 
| 33 | 남부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200101~20201231 | 
| 34 | 순천대학교 수목진단센터 운영 및 나무좀류 방제법 개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50403~20151215 | 
| 35 | 매개충 천적의 생물적 특성 구명 및 증식기술 개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80308~20181130 | 
| 36 | 2022년도 솔껍질깍지벌레 발생·밀도 및 시기조사 | 한국임업진흥원 | 20220211~20221031 | 
| 37 | 남부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220101~20221231 | 
| 38 | 머루, 산초 등 2수종 3해충에 대한 약제 직권등록시험 | 국립산림과학원 | 20210412~20211130 | 
| 39 | 저장 농산물 해충 발생과 독소생성 독성곰팡이 발생간의 상관관계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160101~20161231 | 
| 40 | DNA barcode를 이용한 식물검역해충 유입 차단 시스템 확립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40201~20141130 | 
| 41 | 복숭아씨살이좀벌 월동 및 발생생태 연구 | 농촌진흥청 | 20140201~20141231 | 
| 42 | DNA barcode를 이용한 식물검역해충 유입 차단 시스템 확립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30626~20131130 | 
| 43 | 유럽좁쌀바구미의 발육생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00101~20201231 | 
| 44 | 2017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70330~20171231 | 
| 45 | 순천대학교 수목진단센터 운영 및 실연연구과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80416~20181215 | 
| 46 | 남부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230101~20231231 | 
| 47 | 최우선 유입 우려 병해충 선정 및 병해충별 대응매뉴얼 개발 연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10413~20211115 | 
| 48 | 애못털진딧물의 천적연구개발 및 천적이용 친환경 딸기 재배방법 연구개발 | 거창군 | 20200130~20210129 | 
| 49 | 2023년 전국 솔껍질깍지벌레 생활사 조사(전남권역) | 산림청 | 20230217~20231130 | 
| 50 | 신남방정책에 따른 수출 과실류 최적 소독기법 개발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20101~20221115 | 
| 51 | 필리핀 병충해 식별 및 병원체 탐지향상사업 pmc용역 | 한국농어촌공사 | 20211101~20211220 | 
| 52 | 2022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20303~20221231 | 
| 53 | 최우선 유입 우려 병해충 선정 및 병해충별 대응매뉴얼 개발 연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40101~20241115 | 
| 54 | 2015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50323~20151231 | 
| 55 | 노린재 알기생봉 알깡충좀벌(Ooencyrtus nezarae)의 대량인공사육기술 개발 |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151218~20161217 | 
| 56 | 알락하늘소류 기생봉 탐색 | 미국농무성 | 20150701~20161231 | 
| 57 | 유럽좁쌀바구미의 발육생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180101~20181231 | 
| 58 | 선박에서 검출된 해충의 형태적 분석 및 분류 정보 풀 구축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80621~20181115 | 
| 59 | 관리병해충 제도 개선을 위한 병해충 최신 정보 조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80803~20181115 | 
| 60 | 육계 농장 딱정벌레 오염 실태 및 방제 방안에 관한 연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80504~20181115 | 
| 61 | 최우선 유입 우려 병해충 선정 및 병해충별 대응매뉴얼 개발 연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30101~20231115 | 
| 62 | 대만 수출용 신선채소류 해충 방제 체계 구축 |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210201~20220131 | 
| 63 | 알락하늘소류 기생봉 탐색 | 미국농무성 | 20140701~20150630 | 
| 64 | 관리병해충 제도개선을 위한 병해충 최신 정보조사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00101~20201115 | 
| 65 | 선박에서 검출된 해충의 형태적 분석 및 분류 정보 풀 구축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90101~20191115 | 
| 66 | 2020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00228~20201231 | 
| 67 | 순천대학교 수목진단센터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40326~20141215 | 
| 68 | 2018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80330~20181231 | 
| 69 | 솔껍질깍지벌레 친환경 방제 효과 모니터링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80326~20181130 | 
| 70 | 대만 수출용 신선채소류 해충 방제 체계 구축 |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| 20190801~20200430 | 
| 71 | 2019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90320~20191231 | 
| 72 | 필리핀 병충해 식별 및 병원체 탐지향상사업 pmc용역 | 한국농어촌공사 | 20220101~20221031 | 
| 73 | 주요 채소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10414~20211231 | 
| 74 | 주요 채소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20101~20221231 | 
| 75 | 주요 채소류의 해충 영상정보 확보 및 진단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30101~20231231 | 
| 76 | 주요 수출 신선농산물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소독처리기준 개발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40103~20241115 | 
| 77 | 묘목류 경로위험분석을 위한 품목별 병해충 자료 조사 | 농림축산식품부 | 20150101~20151130 | 
| 78 | 저장 농산물 해충 발생과 독소생성 독성곰팡이 발생간의 상관관계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150101~20151231 | 
| 79 | 썩덩나무노린재의 불임 생태 연구 | 외국기업 | 20181101~20191031 | 
| 80 | 외래 산림병해충 위험평가 기준 개발 | 국립산림과학원 | 20180502~20181130 | 
| 81 | 신남방정책에 따른 수출 과실류 최적 소독기법 개발 | 농림축산검역본부 | 20230101~20231115 | 
| 82 | (교내)한국산 창주둥이바구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00901~20210831 | 
| 83 | 2021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10310~20211231 | 
| 84 | 남부지역 소면적 작물 해충 분류 동정 및 발생 조사 | 농촌진흥청 | 20210101~20211231 | 
| 85 | 2024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40226~20241231 | 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Molecular comparison of Lycorma delicatula (Hemiptera: Fulgoridae) isolates in Korea, China, and Japan | KOREAN SOC APPLIED ENTOMOLOGY | 201312 | 
| 2 | 우리나라 입항지에서 검출된 깍지벌레 목록 및 침입이 우려되는 깍지벌레 (노린재목, 깍지벌레상과)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306 | 
| 3 | 복숭아씨살이좀벌(Eurytoma maslovskii )의 기주, 발생양상 및 산란특성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412 | 
| 4 | Molecular identification of Reesa vespulae (Milliron) (Coleoptera: Dermestidae), a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| 201407 | 
| 5 | Five New Korean Records of the Cossoninae (Coleoptera: Curculiondae) Recorded from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Surve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(2013) |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| 201412 | 
| 6 |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12 microsatellite loci from the blueberry gall midge Dasineura oxycoccana (Diptera: Cecidomyiidae) | SPRINGER JAPAN KK | 201508 | 
| 7 | Estimation of genetic divergence based on mitochondrial DNA variation for an invasive alien species, Metcalfa pruinosa (Say), in Korea |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| 201503 | 
| 8 |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가루깍지벌레(Hemiptera: Pseudococcidae) 분포 조사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509 | 
| 9 | 한국 미기록속 Palorus Mulsant (딱정벌레목: 거저리과)의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509 | 
| 10 | 한국산 미기록속 Parechthistatus Breuning (딱정벌레목: 하늘소과: 목하늘소아과)에 대한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512 | 
| 11 | 국내 미기록 곤충기생성 응애, Pyemotes moseri Yu et Liang (Acarina: Pyemotidae)의 생식 및 기생 능력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512 | 
| 12 | Review of the family Bostrichidae (Coleoptera) of Korea | 국립중앙과학관,국립수목원 | 201510 | 
| 13 | Scale insects (Hemiptera: Coccoidea) on mango in Laos | KHON KAEN AGR. | 201601 | 
| 14 | Genetic Variability of the Invasive Species Metcalfa pruinosa (Hemiptera: Flatidae) in the Republic of Korea |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| 201604 | 
| 15 |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가루깍지벌레(Hemiptera: Pseudococcidae) 분포조사 Ⅱ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606 | 
| 16 | 알락하늘소 유충의 외부기생 알락하늘소살이고치벌[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]의 발견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606 | 
| 17 |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나방(곤충강: 나비목)의 시공간적 다양성 연구 |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| 201603 | 
| 18 | Current status of exotic insect pests in Korea: comparing border interception and incursion during 1996-2014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609 | 
| 19 |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family Biphyllidae (Coleoptera) in Kore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611 | 
| 20 | 한국산 다듬이벌레목의 분류학적 정리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703 | 
| 21 | 노린재류의 알에 기생하는 Trissolcus 속(벌목: 납작먹좀벌과)의 숙주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703 | 
| 22 | Review of the subgenus Aethina Erichson s. str. (Coleoptera: Nitidulidae: Nitidulinae) in Korea, reporting recent invasion of small hive beetle, Aethina tumida | Elsevier | 201703 | 
| 23 | 새로운 저장곡물해충 Cynaeus angustus (LeConte) 및저장산물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한 도해검색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706 | 
| 24 |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ubterranean termite, Reticulitermes kanmonensis Takematsu, 1999 (Isoptera: Rhinotermitidae) | Taylor & Francis Group | 201707 | 
| 25 | 초고속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한 벌집꼬마밑빠진벌레(Aethina tumida)의 신속한 검출 기법 개발 | 한국양봉학회 | 201706 | 
| 26 | Interception of weevils on cut flowers from South Africa by Korea plant quarantine | Elsevier | 201712 | 
| 27 | First confirmation of the distribution of rice weevil, Sitophilus oryzae, in South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1803 | 
| 28 | Discovery of Leluthia honshuensis Belokobylskij & Maeto (Hymenoptera: Braconidae) as a Larval Ectoparasitoid of the Asian longhorned beetle in South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1803 | 
| 29 | New record of an ambrosia beetle, Dinoplatypus hamatus (Blandford) (Coleoptera: Curculionidae: Platypodinae) in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1803 | 
| 30 | In vitro rearing of Ooencyrtus nezarae (Hymenoptera: Encyrtidae), an egg parasitoid of Riptortus pedestris (Hemiptera: Alydidae) | Taylor & Francis Group | 201807 | 
| 31 |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from the Insect Pest Tribolium castaneum in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810 | 
| 32 | 유채 꽃에서 자생종 유채좁쌀바구미(Ceutorhynchus albosuturalis )의 외래침입종 유럽좁쌀바구미(C. obstrictus )로의 생태적 대체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811 | 
| 33 | 한국 미기록, 옛방아벌레과(딱정벌레목, 방아벌레상과)의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812 | 
| 34 | DNA barcoding in quarantine inspection: a case study on quarantine insect monitoring for Lepidoptera obtained through quarantine inspection on foreign vessels | Taylor & Francis | 201812 | 
| 35 | An Optimal Model Prediction for Fruits Diseases with Weather Conditions | (사)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| 201903 | 
| 36 | Reporting the possibility of invasive populations of Anoplophora spp. in Korea | Elsevier | 201905 | 
| 37 | 육계농장에서 외미거저리(Alphitobius diaperinus ) 발생양상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909 | 
| 38 | 2018년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909 | 
| 39 |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Ceutorhynchus obstrictus (Marsham, 1802) (Coleoptera: Curculionidae) | Taylor & Francis | 201907 | 
| 40 |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새로운 잎벌류 해충, Monocellicampa pruni Wei (벌목, 잎벌과)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1912 | 
| 41 | 국외에서 출항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006 | 
| 42 |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lphitobius diaperinus Panzer, 1797 (Coleoptera: Tenebrionidae) | TAYLOR FRANCIS LTD | 202007 | 
| 43 | 2019년 한국의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009 | 
| 44 | First Report of the Wax Beetle, Platybolium alvearium Blair (Coleoptera: Tenebrionidae) from Nepal | 한국양봉학회 | 202006 | 
| 45 | 한국에서 새로운 해충 석류가루이, Siphoninus phillyreae (Haliday, 1835) 발견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009 | 
| 46 | One new record of the genus Cinara Curtis, 1835 (Hemiptera: Aphididae: Lachninae) from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2009 | 
| 47 | 자두수염잎벌 Monocellicampa pruni (벌목: 잎벌과) 유충의 형태적 특징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012 | 
| 48 | 한국에서 외래종 무화과곰보바구미(신칭), Aclees taiwanensis K?no 발생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012 | 
| 49 | Review of family Monotomidae Laporte, 1840 (Coleoptera: Cucujoidea) in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2012 | 
| 50 | Taxonomical and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ectoparasitoid, Chlorocytus spicatus (Walker) (Hymenoptera: Pteromalidae), introduced to Korea with the cabbage seedpod weevil on rapeseed | 국립중앙과학관 | 202106 | 
| 51 | Influence of Irradiation on the Biology of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(Hemiptera: Pentatomidae) | Oxford University Press | 202103 | 
| 52 | 국외에서 출항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보고 II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109 | 
| 53 | A new species of the genus Eumerus (Diptera: Syrphidae) infesting roots of Campanulaceae crops in South Kore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103 | 
| 54 | 딸기 재배하우스에 발생하는 애못털진딧물(Chaetosiphon minus)의생물적 특성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106 | 
| 55 | 한국의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2020년 예찰조사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112 | 
| 56 | 자두수염잎벌(Monocellicampa pruni )의 생물학적 특성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112 | 
| 57 | 대만 수출용 배추 및 양배추에서 해충 및 잔류농약 실태조사 | 농업생명과학연구원 | 202112 | 
| 58 | Novel Descriptions of Immature Stages of the Forestry Insect Pest, Yponomeuta meguronis (Lepidoptera: Yponomeutidae), with New Records of Its Natural Enemies | MDPI | 202204 | 
| 59 | Discovery and Biology of Spathius verustus Chao (Hymenoptera: Braconidae), a Potential Biological Agent on Two Monochamus Vectors of the Pinewood Nematode | MDPI | 202206 | 
| 60 | Phosphine Fumigation Followed by Cold Treatment to Control Peach Fruit Moth, Carposina sasakii, Larvae on “Fuji” Apples Intended for Export | MDPI | 202207 | 
| 61 | Pathogen Detec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Aethina tumida Murray in South Korea | Sciendo | 202206 | 
| 62 |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clees taiwanensis K?no, 1933 (Coleoptera: Curculionidae)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208 | 
| 63 | Temperature-Dependent Development of the Post-Diapause Periods of the Apricot Seed Wasp Eurytoma maslovskii (Hymenoptera: Eurytomidae): An Implication for Spring Emergence Prediction Models | MDPI | 202208 | 
| 64 | 제주진주거저리(Platydema takeii Nakane)의 목이버섯 가해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209 | 
| 65 | Potential of using mineral oils for the control of the mosquito bugs Helopeltis theivora (Hemiptera: Miridae) in cashew plantations | KOREAN SOC APPLIED ENTOMOLOGY | 202209 | 
| 66 | The Efficacy, Phytotoxicity, and Safety of Liquid Ethyl Formate Used to Control the Grape (Campbell Early) Quarantine Pest Pseudococcus comstocki | MDPI | 202209 | 
| 67 | Pictorial key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two newly recorded species of genus Tribolium (Coleoptera: Tenebrionidae) in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2212 | 
| 68 | Integrative analysis on the hitchhiking differential grasshopper, Melanoplus differentialis (Thomas, 1865) (Acrididae, Orthoptera) | WILEY | 202211 | 
| 69 | 한국산 미기록 콩바구미 Bruchidius siliquastri (딱정벌레목: 잎벌레과)에 대한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212 | 
| 70 | Ethyl Formate Fumigation for Control of the Scale Insect Asiacornococcus kaki, a Quarantine Pest on Sweet Persimmon, Diospyros kaki: Efficacy, Phytotoxicity and Safety | MDPI | 202304 | 
| 71 | A new species of genus Conapium Motschulsky in Korea (Coleoptera, Brentidae: Apioninae)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06 | 
| 72 | 한국의 미기록속 Ectopsocus McLachlan, 1899 (다듬이목: 외다듬이벌레과)의 보고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05 | 
| 73 | New Record of Sternuchopsis waltoni (Boheman) (Coleoptera, Curculionidae, Molytinae, Mecysolobini) from South Kore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09 | 
| 74 | The New Record of Pleotrichophorus pseudoglandulosus (Palmer, 1952) (Hemiptera: Aphididae) in South Kore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11 | 
| 75 | Monitoring of hitchhiker insect pests collected on foreign vessels entering Korea using by DNA barcodes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08 | 
| 76 | 2015-2022년 식물검역 해충 검출동향 분석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311 | 
| 77 | New Record of Two Powderpost Beetles (Coleoptera-Bostrichidae) to Korean Faun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403 | 
| 78 | First Record of Genus Pseudorobitis Redtenbacher of Nanophyinae (Coleoptera: Brentidae) in South Kore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406 | 
| 79 | Ethyl Formate Fumigation for Controlling Two Major Aphid Pests, Aphis spiraecola and Aphis gossypii, on Passion Fruit, from Cultivation to Post-Harvest Storage | MDPI | 202405 | 
| 80 | Revealing the Identity of Donacia aquatica (Linnaeus) and D. japana Chûjô & Goecke (Coleoptera: Chrysomelidae: Donaciinae) based on Literature Review, New Material, and DNA Barcodes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407 | 
| 81 | A new species of genus Aceria (Acari: Eriophyidae) on Chinese fringetree from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d Korea | 202412 | 
| 82 | Priobium carpini (Herbst)을 포함한 목재 해충인 빗살수염벌레아과(딱정벌레목: 표본벌레과)의 국내 피해 사례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411 | 
| 83 | Review of the tribe Megatomini Leach (Coleoptera, Dermestidae, Megatominae) in Korea |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& Korea National Arboretum | 202502 | 
| 84 | Three Newly Recorded Pinhole Borers (Coleoptera: Curculionidae: Platypodinae) from Korean Fauna | 한국응용곤충학회 | 202502 | 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국가생물종 목록집 곤충 (딱정벌레목II) | 국립생물자원관 | 2014-12-15 | 
| 2 | 저장곡물해충 및 위생해충(파리류) 도감 |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| 2017-11-30 | 
| 3 | 수목해충학 | 향문사 | 2019-03-11 | 
| 4 | (소면적 채소에서 발생하는) 주요 병해충 방제 매뉴얼 | 농촌진흥청 | 2022-11-01 | 
| 5 | (소면적 약용작물에 발생하는) 주요 병해충 방제 매뉴얼 | 농촌진흥청 농자재산업과 | 2023-12-01 | 
| 6 | 생물안보 핸드북 식물위생 |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| 2016-03-25 | 
| 7 | 생물학사전 | 아카데미서적 | 2017-04-15 | 
| 8 | 컨테이너묘목 생산과 사업관리 지침서 | 예일디자인프린팅 | 2025-01-22 | 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알깡충좀벌을 인공사육하기 위한 인공알 주머니 | 출원 | 2017.09.06 | 
| 2 | 알깡충좀벌의 인공사육 방법 | 출원 | 2017.09.06 | 
| 3 | 알깡충좀벌의 인공사육을 위한 인공배지 조성물 | 출원 | 2017.09.06 | 
| 4 | 알깡충좀벌의 인공사육을 위한 인공배지 조성물(Artificial medium composition for rearing Oorencyrtus nezarae) | 등록 | 2019.04.30 | 
| 5 | 알깡충좀벌을 인공사육하기 위한 인공알 주머니(Artificial egg bag for rearing Oorencyrtus nezarae) | 등록 | 2019.10.10 | 
| 6 | 알깡충좀벌의 인공사육 방법 | 등록 | 2020.03.03 | 
| 7 |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| 등록 | 2020.08.31 | 
| 8 | 진딧물 방제를 위한 천적 별넓적꽃등에의 대량사육방법 및 포장과 저장방법 | 등록 | 2020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