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
   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 | 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HACCP 주요 부적합 공정 및 새로 도입된 공정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1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50201~20251231 | 
| 2 | 종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별법의 검증, 교육, 홍보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180101~20181130 | 
| 3 | (교내)어린이집 급식환경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| 순천대학교 | 20190301~20200229 | 
| 4 | 종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별법의 검증, 교육, 홍보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190101~20191130 | 
| 5 | 식품 위해미생물 분리·동정 교육 | 광주식약청 HACCP 발전협의회 | 20230227~20230228 | 
| 6 | (교내) 소규모 식품제조업체용 Smart HACCP 시스템 요소 분석 | 순천대학교 | 20230901~20240831 | 
| 7 | 식품안전관리 제도 및 평가체계의 고도화 방안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30405~20231130 | 
| 8 | 종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별법의 검증, 교육, 홍보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170201~20171130 | 
| 9 | 대장균군과 다빈도 검출식품에 대한 건조필름법 정확도 평가 | 일반기업체 | 20161101~20171031 | 
| 10 | 미역귀를 이용한 냉장가정간편식 개발 |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| 20181201~20191130 | 
| 11 | 종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별법의 검증, 교육, 홍보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210101~20211130 | 
| 12 | (교내)바실러스 써린지엔시스 미생물농약 제제의 독소 유전자 분포 및 장독소 생산 | 순천대학교 | 20150301~20160229 | 
| 13 |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일원화 방안 연구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190429~20190731 | 
| 14 | 지하수 중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 정량에 대한 건조필름법과 수질시험법 비교 | 일반기업체 | 20190101~20191231 | 
| 15 | HACCP 평가체계 및 중요관리점 운용 적절성 연구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20518~20221130 | 
| 16 | 샐러드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일반세균 건조필름 정확도 평가 | 일반기업체 | 20230201~20231231 | 
| 17 | 스마트 HACCP 도입 효과성 분석 모델 개발 사업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01027~20201218 | 
| 18 | 식품등 기준, 규격 검사업무 분석 및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151015~20151215 | 
| 19 | 종판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별법의 검증, 교육, 홍보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200101~20201130 | 
| 20 |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배지의 검증 및 모니터링 | 일반기업체 | 20200101~20201231 | 
| 21 | HACCP 제도 발전방향 및 스마트 HACCP 도입 효과성 분석 연구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10616~20211130 | 
| 22 | (교내)저장 조건이 고춧가루 중 곰팡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| 순천대학교 | 20220401~20230228 | 
| 23 | 버섯류 등 수입 농산물의 인위적 증량 판별법 연구 | 식품의약품안전처 | 20151218~20161217 | 
| 24 | 업종별 위생등급 지정평가 평가항목 개선방안 연구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20516~20221014 | 
| 25 | 식육가공품에 대한 건조필름의 정확도 평가 | 일반기업체 | 20180401~20181031 | 
| 26 | 식품 병원성 미생물 실험 교육 |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| 20240725~20240726 | 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Proposal of statistical sampling plans for Bacillus cereu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s | KOREAN SOCIETY FOOD SCIENCE TECHNOLOGY-KOSFOST | 201504 | 
| 2 | 경기지역 농산물도매시장 일부 엽채류의 월별 농약 잔류특성(2009∼2013년)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1506 | 
| 3 | 보육시설 유아 사용 칫솔의 식중독 미생물 분포 및 독소 유전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1509 | 
| 4 | Distribution of Toxin Genes and Enterotoxins i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Microbial Insecticide Products |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| 201512 | 
| 5 | Draft genome sequence of non-shiga toxin-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NCCP15738 | BIOMED CENTRAL LTD | 201604 | 
| 6 | 장수지역 전통된장의 미생물 군집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길항 효과 | 한국식품영양과학회 | 201607 | 
| 7 | Whole-genome sequencing and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O91 strains isolated from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human carriers | BIOMED CENTRAL LTD | 201611 | 
| 8 | 약수터 음용도구의 Bacillus cereus 분포 및 독소 특성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1702 | 
| 9 | 전남 일부 지역 대학생 손의 미생물 오염도와 위생 인식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1704 | 
| 10 |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1704 | 
| 11 |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and serotypes of Salmonella spp. Isolated at Jeollanam-do in Korea |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idus@korea.kr | 201706 | 
| 12 |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Organic Vegetables | 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 | 201708 | 
| 13 | Characteriza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C. difficile-associated Disease in Korea | Korea Centers for Disease | 201710 | 
| 14 | 국내산 및 수입산 냉동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수분함량과 Drip양 비교 | 한국식품영양과학회 | 201804 | 
| 15 |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in commercial Jeotgal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in commercial Jeotgal |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| 201804 | 
| 16 | 국내산 및 수입산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일반성분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 | 한국버섯학회 | 201809 | 
| 17 | 시중 유통 중인 향신료가공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| 한국저장유통학회 | 201810 | 
| 18 | 금속표면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생육억제에 미치는 영향 | 대한임상미생물학회 | 201812 | 
| 19 |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CR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Branchiostegus japonicus and Branchiostegus albus |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Room 605, Science Center BuildingYeoksam-dong, Kangnam-gu, Seoul135-703 | 201906 | 
| 20 | 광주광역시 학교급식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1906 | 
| 21 |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strains on coliform dry rehydratable film |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| 201906 | 
| 22 | 당침 당이 매실 청 품질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1906 | 
| 23 | 청각의 식이섬유, 미네랄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분석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1908 | 
| 24 | 즉석섭취 식육가공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| 한국식품영양과학회 | 201908 | 
| 25 | 보육시설 유형과 종사자 직급에 따른 손의 미생물 오염 및 위생 인식 | 한국식품조리과학회 | 201908 | 
| 26 | 전처리 방법이 유산균수 측정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1910 | 
| 27 | 어류, 수족관수 및 환자에서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독소유전자 분포 및 항생제 내성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002 | 
| 28 | 식품과 축산물 HACCP의 차이점 분석 및 일원화 방안 도출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003 | 
| 29 | 물 중 일반세균 정량에 대한 배지법과 건조필름법의 상관관계 | 한국물환경학회 | 202003 | 
| 30 | 신종 식품 위해인자에 대한 외국관리동향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003 | 
| 31 | 광주지역 유통 채소류의 Bacillus cereus 오염실태 및 독소 특성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2004 | 
| 32 | 어린이집 급식환경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004 | 
| 33 | 피조개 중 잔류 미세플라스틱의 정성 및 정량 평가 |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| 202006 | 
| 34 | Improving the accuracy of coliform detection in meat products using modified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| KOREAN SOCIETY FOOD SCIENCE TECHNOLOGY-KOSFOST | 202009 | 
| 35 | DNA barcode를 이용한 민어과 수산가공품 진위판별 모니터링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012 | 
| 36 | 보육시설과 지역아동센터 칼과 도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| 한국식품영양학회 | 202012 | 
| 37 |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Dummies Used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Korea | BENTHAM SCIENCE PUBL LTD | 202101 | 
| 38 | 국내산과 중국산 능이의 미네랄 함량 비교 | 한국버섯학회 | 202103 | 
| 39 |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CR assay for differentiating tunas and billfishes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104 | 
| 40 | Comparison of mineral and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in Lentinula edodes produced from Korea and China |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| 202108 | 
| 41 | 스마트 HACCP 효과 분석 모델 개발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109 | 
| 42 | 급식실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독소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112 | 
| 43 | 스마트 HACCP 발전방안 | 한국식품위생학회 | 202112 | 
| 44 | 어린이 대상 급식소 세척도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| 한국식품조리과학회 | 202202 | 
| 45 | 가래떡에 오염된 곰팡이와 효모의 분리 동정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02 | 
| 46 | Inhibitory Effects of Copper, Brass, and Stainless Steel Surfaces on Multidrug-Resistant Microorganisms | 대한임상미생물학회 | 202206 | 
| 47 | EU의 HACCP 법규 및 운영제도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06 | 
| 48 | Toxin gen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kitchen cleaning tools in child care centers |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| 202207 | 
| 49 | HACCP 의무적용 식품 및 소규모 HACCP 제도 개선방안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209 | 
| 50 | 일본의 HACCP 법규 및 운영제도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09 | 
| 51 | 남북한 식품안전규정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09 | 
| 52 | 국내산과 수입산 송이의 다량 및 미량 미네랄 함량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10 | 
| 53 | 살균 조건이 세척 도구 중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210 | 
| 54 | 유통 포장두부에 오염된 미생물의 동정과 제어 | 한국식품조리과학회 | 202212 | 
| 55 | 자외선 살균고의 자외선 램프 교체 주기와 위생관리 방안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302 | 
| 56 | 저장조건이 고춧가루 중 곰팡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304 | 
| 57 | 배지 중 Manganese sulfate 농도가 Bacillus thuringiensis의 곤충독소 생성 시간에 미치는 영향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306 | 
| 58 | 음식점과 급식 시설의 위생평가 항목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306 | 
| 59 | 과자류 HACCP의 중요관리점 및 한계기준 개선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306 | 
| 60 |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ultra-fast quantitative real-time PCR method to differentiate between Oncorhynchus keta and Oncorhynchus mykiss |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| 202306 | 
| 61 | Bacillus subtilis,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및 Bacillus atrophaeus 포자의 열 저항성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310 | 
| 62 |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diarrhea in Korea between the years 2007 and 2022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312 | 
| 63 | 어린이집 급식설비에서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독소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407 | 
| 64 | 건조필름과 Baird paker agar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정확도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412 | 
| 65 | 국내에서 분리된 Geobacillus thermodenitrificans subsp. Calidus와 Ureibacillus suwonensis 포자의 열 저항성 평가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502 | 
| 66 | Plate Count Agar와 Dry Film Media의 총 호기성 세균 검출 효율 및 정량 정확도 비교 |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| 202506 | 
| 67 | HACCP 선행요건과 식품위생법의 행정처분 비교 | 한국식품과학회 | 202506 | 
| 68 | 일부 학교급식 위생관리 컨설팅을 통한 개선사항 도출 연구 | 한국식품조리과학회 | 202506 | 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식품위생학 | 창지사 | 2017-08-24 | 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염모제 중 계면 활성제와 고급 지방산의 제거방법 및 염모제 중 주요성분 동시분석 방법(Method for removing surfactants and fat acid from hair dyes and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main ingredients in hair dyes) | 등록 | 2009.05.11 | 
| 2 | 염모제 중 주요성분 동시분석 방법(Method for removing surfactants and fat acid from hair dyes, and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main ingredients in hair dyes) | 등록 | 2009.11.30 | 
| 3 | 토마토로부터 유래한 3’-O-메틸전이효소, 그의 유전자 및 그들의 제조방법과 이들을 이용하여 만든 미생물로부터 크리소에리올, 아이소람네틴을 생산하는 방법(3'O-Methyltransferse, Gene thereof and Production method of chrisoeriol and isorhamnetin by using the same) | 등록 | 2012.06.11 | 
| 4 | 바실러스 세리우스의 구토독소 및 설사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재조합된 멀티플렉스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(Recombinant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 set detecting diarrhoeal typed toxin and emetic typed toxin simultaneously) | 등록 | 2012.11.06 | 
| 5 | 바실러스 세리우스의 구토독소 및 설사독소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재조합된 멀티플렉스 중합효소 연쇄반응 프라이머 세트(Recombinant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 set detecting diarrhoeal typed toxin and emetic typed toxin simultaneously) | 등록 | 2012.11.28 | 
| 6 | 옥돔과 옥두어의 신속 판별용 멀티플렉스 PCR 방법 및 이를 위한 PCR 프라이머(Multiplex PCR assays for discriminating between Branchiostegus japonicus and Branchiostegus albus and PCR primer therefor) | 등록 | 2021.05.10 | 
| 7 | 다랑어류 및 새치류의 신속 판별용 멀티플랙스 PCR 방법 및 이를 위한 PCR 프라이머 | 등록 | 2021.10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