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학연 정보공시 지표 현황
산학연 관련 지표 및 타대학과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산학협력통합정보검색
순천대학교 산학협력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커뮤니티
흥미로운 소식과 새로운 자료를 가장 먼저 전해 드립니다.
기업지원 서비스
기업지원 서비스 공고를 확인하세요.
기업협업센터(ICC)
국립순천대학교 기업협업센터
연구인력 상세보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순번 | 연구분야 | 연구핵심명 | 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
   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 | |||||||||
| 순번 | 과제명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90301~20200229 | 
| 2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70601~20180228 | 
| 3 | 한반도 북한 접경지역 벼와 콩 주요 병 잡초 모니터링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20101~20221231 | 
| 4 | 2021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 시험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10310~20211231 | 
| 5 | (교내) 벼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집단유전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30401~20240229 | 
| 6 | 2019 동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(박숙영)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90901~20200630 | 
| 7 | 신문제 맥류 진균병 위험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특성 분석 | 농촌진흥청 | 20210101~20211231 | 
| 8 | Epigenetics를 이용한 지의류형성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과정 규명 | 한국연구재단 | 20161101~20171031 | 
| 9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180301~20190228 | 
| 10 | 2018 동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 시험(박숙영)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80901~20190630 | 
| 11 | 신문제 맥류 진균병 위험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특성 분석 | 농촌진흥청 | 20220101~20221231 | 
| 12 | 인공지능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오이 흰가루병 조기경보 예측 및 방제 기술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240601~20250228 | 
| 13 | 기후변화로 심화되는 병해충의 특성 평가 및 저항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(1단계) | 농촌진흥청 | 20240401~20241231 | 
| 14 | 한반도 북한 접경지역 벼와 콩 주요 병 잡초 모니터링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10101~20211231 | 
| 15 | 화이트닝 제품 성능분석방법 컨설팅 | 일반기업체 | 20240101~20240630 | 
| 16 | 한반도 북한 접경지역 벼와 콩 주요 병 잡초 모니터링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30101~20231231 | 
| 17 | 2019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(박숙영)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90320~20191231 | 
| 18 | 신문제 맥류 진균병 위험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특성 분석 | 농촌진흥청 | 20200101~20201231 | 
| 19 | (교내)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에 관한 연구 | 순천대학교 | 20170301~20180228 | 
| 20 | 2021년 대학진로탐색캠프 운영 | 한국과학창의재단 | 20210415~20211231 | 
| 21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220301~20220531 | 
| 22 | 기후변화로 심화되는 병해충의 특성 평가 및 저항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(1단계) | 농촌진흥청 | 20250101~20251231 | 
| 23 | 북방지역 식량작물 병,해충,잡초 모니터링 및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| 농촌진흥청 | 20200201~20201231 | 
| 24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210301~20220228 | 
| 25 | 벼 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의 분포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변이 메커니즘 이해 | 한국연구재단 | 20200301~20210228 | 
| 26 | 2020 동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 시험(박숙영)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200819~20210630 | 
| 27 | 신문제 맥류 진균병 위험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특성 분석 | 농촌진흥청 | 20230101~20231231 | 
| 28 | 아태 지역 농업기상서비스 프로그램: 부탄,네팔,사모아에 대한 병해충 예측 및 조기경보 기술 지원 | 유엔식량농업기구(FAO) | 20191130~20201130 | 
| 29 | 농약직권등록시험(약효,약해)및 그룹약효 기준안 설정 | 농촌진흥청 | 20200101~20201231 | 
| 30 | 2018 하작물 농약품목등록 약제방제 효과시험(박숙영) | 한국작물보호협회 | 20180330~20181231 | 
| 31 | 2021년 전북지역에 발생한 벼 도열병균의 약제저항성 분석 | 농촌진흥청 | 20220311~20220810 | 
| 순번 | 제목 | 기관명 | 기간 | 
|---|---|---|---|
| 1 |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f Kiwiberry in 2015 and 2016 | KOREAN SOC PLANT PATHOLOGY | 201708 | 
| 2 | Draft Genome Sequence of an Endophytic Fungus, Gaeumannomyces sp. Strain JS-464, Isolated from a Reed Plant, Phragmites communis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| 201708 | 
| 3 | Draft genome sequence of Aspergillus persii NIBRFGC000004109, which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lant-pathogenic bacteria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Journals@asmusa.org | 201709 | 
| 4 | Genome sequence of an endophytic fungus, Fusarium solani JS-169, which has antifungal activity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Journals@asmusa.org | 201710 | 
| 5 | Arthothelium punctatum (Arthoniaceae, Arthoniales), a new lichen species from south Korea |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712 | 
| 6 | Taxonomic revision of the lichen genera Pertusaria, Varicellaria, and Variolaria (Pertusariales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| 201712 | 
| 7 | Revision of the Lichen Genus Stereocaulon (Stereocaulaceae, Ascomycota) in South Korea | 한국균학회 | 201806 | 
| 8 |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nymphaeae on Kiwiberry in Korea. | AMER PHYTOPATHOLOGICAL SOC | 201807 | 
| 9 | 도열병균의 Transposable element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806 | 
| 10 | Endophytic and endolichenic fungal diversity in maritime Antarctica based on cultured material and their evolutionary position among Dikarya | Westerdijk Fungal Biodiversity Institute | 201808 | 
| 11 |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from the Insect Pest Tribolium castaneum in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810 | 
| 12 | Role of the histon acetyltransferase Rtt109 in development and pathogenicity of the rice blast fungus |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1810 | 
| 13 | Genetic diversity of the pear scab fungus Venturia nashicola in Korea | Taylor & Francis Group | 201904 | 
| 14 | 벼도열병균의 비병원성 유전자 AVR-Pita1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903 | 
| 15 | First report of twig dieback caused by Neopestalotiopsis clavispora on blueberry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y Society | 201905 | 
| 16 | Draft genome sequence of Amphirosellinia nigrosora JS-1675, an endophytic fungus from Pteris cretica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| 201905 | 
| 17 | First report of the lichen Ochrolechia akagiensis (Ochrolechiaceae, Ascomycota) in Korea | Korean Society of Mycologyksm@mycology.or.kr | 201906 | 
| 18 | Pi5 and Pii Paired NLRs Are Functionally Exchangeable and Confer Similar Disease Resistance Specificity | KOREAN SOC MOLECULAR CELLULAR BIOLOGY | 201909 | 
| 19 | Survival Factor Gene FgSvf1 Is Required for Normal Growth and Stress Resistance in Fusarium graminearum |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1910 | 
| 20 |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cDNA-AFLP in Magnaporthe oryzae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1912 | 
| 21 | Draft genome sequence of Aspergillus oryzae BP2-1, isolated from traditional malted rice in south Korea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| 202001 | 
| 22 | Transcriptome profiling of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and its host Oryza sativa during infection |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002 | 
| 23 | Expression Patterns of Transposable Elements in Magnaporthe oryzae under Diverse Development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003 | 
| 24 | Draft genome sequence of Daldinia childiae JS-1345, an endophytic fungus isolated from stem tissue of Korean fir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| 202004 | 
| 25 | Draft genome sequence of Alternaria alternata JS-1623, a fungal endophyte of Abies koreana | Korean Mycological Society | 202006 | 
| 26 | 2019년 한국 고위험 식물병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| 농업생명과학연구원 | 202008 | 
| 27 | First report of root and stem rot caused by pythiurn aphanidermaturn on sedurn sarrnentosurn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011 | 
| 28 | Two nuclear effectors of the rice blast fungus modulate host immunity via transcriptional reprogramming | Nature Research | 202012 | 
| 29 | The rice/maize pathogen Cochliobolus spp. infect and reproduce on Arabidopsis revealing differences in defensive phytohormone function between monocots and dicots | WILEY | 202007 | 
| 30 | 남부지역 유자재배 지역중심으로 감귤황룡병과 매개충 아시아감귤나무이(Diaphotima citri)에 대한 2018-2020년 예찰조사 보고 | 농업생명과학연구원 | 202102 | 
| 31 | Draft Genome Sequence of Streptomyces Strain SJ1-7, a Soil Bacterial Isolate |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| 202103 | 
| 32 | 감자 제브라칩병과 매개충 토마토 감자 나무이 (Bactericera cockerelli Sulc.)에 대한 2018년 예찰조사 보고 | 농업생명과학연구원 | 202104 | 
| 33 | Draft Genome Sequence of Xylaria grammica EL000614, a Strain Producing Grammicin, a Potent Nematicidal Compound | 한국균학회 | 202107 | 
| 34 | Production and activity of cristazarin in the lichen-forming fungus cladonia metacorallifera | MDPI AG | 202107 | 
| 35 | Nematicidal activity of grammicin biosynthesis pathway intermediates in xylaria grammica kctc 13121bp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| MDPI AG | 202108 | 
| 36 | Optimiza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-Mediated Transformation of Xylaria grammica EL000614, an Endolichenic Fungus Producing Grammicin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111 | 
| 37 | First Report of Bleeding Canker of Pear Tree Trunks Caused by Dickeya fangzhongdai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108 | 
| 38 |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fructicola on Hybrid Pear Fruit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110 | 
| 39 |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벼 병해 방제법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112 | 
| 40 | Harnessing Chemical Ecology for Environment-Friendly Crop Protection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111 | 
| 41 | Alternative splicing diversifies the transcriptome and proteome of the rice blast fungus during host infection | Taylor and Francis Ltd. | 202203 | 
| 42 | Comparison of projected rice blast epidemics i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CMIP5 and CMIP6 scenarios |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B.V. | 202207 | 
| 43 | A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lichen-forming fungi reveals new insights into fungal lifestyles | Nature Research | 202206 | 
| 44 | First report of canker | American Phytopathology Society | 202208 | 
| 45 | Epicoccum tobaicum on Oat | American Phytopathology Society | 202211 | 
| 46 | First Report of Brown Spot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on Potato (Solanum tuberosom L.)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y Society | 202212 | 
| 47 | Prospects for Enhancing Climate Services in Agriculture | AMER METEOROLOGICAL SOC | 202302 | 
| 48 | 미생물을 활용한 옥수수병의 생물학적 방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212 | 
| 49 | First Report of Sharp Eyespot of Oat (Avena sativa) Caused by Ceratobasium cereale in Korea | Americal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308 | 
| 50 | Host-induced gene silencing is a promising biological tool to characterize the pathogenicity of <i>Magnaporthe oryzae</i> and control fungal disease in rice | WILEY | 202309 | 
| 51 | <i>Agrobacterium tumefaciens</i>-Mediated Transformation of the Aquatic Fungus <i>Phialemonium inflatum</i> FBCC-F1546 | MDPI | 202312 | 
| 52 | North Korea’s Shift to Organic Farming and the Role of Microbial and Organic Fertilizers | 한국토양비료학회 | 202311 | 
| 53 | First Report of Pyrenophora tritici-repentis in Wheat (Triticum aestivum L.) in Korea and in vitro Selection of an Effective Fungicide | 한국균학회 | 202312 | 
| 54 | Inhibitory effects of 15 mushroom culture extracts on the growth of Alternaria alternata causing potato brown spot | 한국버섯학회 | 202312 | 
| 55 |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<i>Alternaria alternata</i> from Potato Plants Affected by Leaf Spot Disease in Korea: Selection of Effective Fungicides | MDPI | 202401 | 
| 56 | MoNOT3 Subunit Has Important Roles in Infection Related Development and Stress Responses in Magnaporthe oryzae | MDPI | 202403 | 
| 57 | First Repor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n Cinnamomum camphora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403 | 
| 58 | 목이버섯 배지 오염 곰팡이균의 분리, 동정 및 생물학적 방제제 선발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403 | 
| 59 | First report of leaf spot on Eriobotrya japonic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in Southwest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y Society | 202406 | 
| 60 | First report of fruit scab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on Actinicia chinensis in Korea |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| 202409 | 
| 61 | 2020-2021년 한국 남부 지역 보리, 밀, 귀리의 분얼 및 신장기에 발생한 곰팡이 병 조사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409 | 
| 62 | 한국의 고추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5종의 신속한 검출을 위한 포자 PCR 및 qPCR 방법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409 | 
| 63 | 벼 깨씨무늬병 Bipolaris oryzae의 포자 형성 방법 개선 | 한국식물병리학회 | 202409 | 
| 64 | First Report of Leaf Spot on Hydrangea macrophylla Caused by Boeremia exigua in Korea | AMER PHYTOPATHOLOGICAL SOC | 202501 | 
| 65 | Predicting the Onset Date of Cucumber Powdery Mildew Based on Growing Degree Days and Leaf Wetness Duration in Greenhouse Environment | KOREAN SOC PLANT PATHOLOGY | 202506 | 
| 66 | First report of leaf spot on Camellia japonic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in Korea |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03 | 
| 67 | Biocontrol potential of Streptomyces sp. C2-4 against Ceratobasidium cereale caused sharp eyespot in wheat |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03 | 
| 68 | 경남 함안 지역 두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된 수박에 발생한 잎점무늬병의 원인 병원균 동정 |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06 | 
| 69 | First Repot of Leaf Spot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allicinum on Barley in Korea |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09 | 
| 70 | Assessment of Grapefruit Seed Extract Residues from Plum Tree Canker Surgery for Potential Topical Application | The Korean Plant Pathology | 202509 | 
| 71 |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-Based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Characterization of Representative Bipolaris oryzae Isolates from 2023–2024 |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10 | 
| 72 | Comparative Genomics Reveals Conserved Ophiobolin Biosynthetic Gene Cluster and Necrotrophic Adaptation in Bipolaris oryzae |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| 202510 | 
| 순번 | 제목 | 출판사 | 출판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(생활권) 조경수 병리학 | 문운당 | 2021-12-30 | 
| 2 | 식물병리학 및 식물병원체 제4판 | (주)라이프사이언스 | 2023-03-01 | 
| 순번 | 제목 | 분류명 | 등록일 | 
|---|---|---|---|
| 1 | 일별 감염 위험도 추정을 위한 모듈형 식물 질병 예측 시스템 | 출원 | 2021.11.16 | 
| 2 |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sp. SJ1-7 및 이의 이용 | 출원 | 2021.09.29 | 
| 3 | 일별 감염 위험도 추정을 위한 모듈형 식물 질병 예측 시스템 | 등록 | 2021.11.16 | 
| 4 |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NIBRBAC 000003004 균주 | 출원 | 2023.11.20 | 
| 5 | 스트렙토마이세스 뮤리누스 JS029를 이용한 탄저병 억제 | 출원 | 2023.12.08 | 
| 6 | 스트렙토마이세스 뮤리누스 JS029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 억제 | 출원 | 2023.12.08 | 
| 7 | 스트렙토마이세스 뮤리누스 JS029를 이용한 토마토 시들음병 억제 및 성장 촉진 | 출원 | 2023.12.08 | 
| 8 |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유래 그람미신 생성능이 향상된 개량균주 SYP-F0552 및 이를 이용한 그람미신의 생산방법 | 출원 | 2023.12.14 | 
| 9 |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유래 그람미신 생성능이 향상된 개량균주 SYP-F0649 및 이를 이용한 그람미신의 생산방법 | 출원 | 2023.12.14 |